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4개 지역 지하철 노사간 막판 협상이 19일 모두 결렬됐다.

이에 따라 21일 오전4시로 예고된 지하철 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특히 이중 서울과 인천지하철에 대해서는 15일간 파업을 금지하는 직권중재 결정이 떨어진 상태여서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 불법으로 규정돼 공권력 투입 등 물리적 충돌이 우려된다.

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만료일인 이날 노사는 마지막 협상을 벌였으나 주5일제에 따른 인력 충원 등 핵심쟁점에 대한 입장차가 워낙 커 합의에 실패했다.

서울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의 경우 사측은 외부 전문기관에 직무분석을 의뢰, 적정 인력을 산정하자는 수정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양 노조는 '근로조건 저하 없는 주5일제 시행'을 위해서는 각각 3천43명과 3천2백5명의 증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 노조는 지방노동위원회의 직권중재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며 21일 예고한 파업을 강행할 방침이다.

김철수ㆍ이태명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