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기업 "지방行 엄두가 안나요" ‥ 땅값 폭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참여정부 들어 지방분권과 지방 경제 살리기를 위해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실제 지방이전은 지지부진하고 호응도 기대 이하다.
이는 정부가 행정수도 이전, 공공기관 지방이전, 기업도시 건설 등 굵직굵직한 개발호재들을 너무 앞질러 터뜨린 바람에 지방 부동산 값이 폭등, 기업들의 이전비용 부담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인지역 기업들은 "정부가 이전비용 지원 등 각종 인센티브 제공을 약속하지만 지방의 투기열풍으로 폭발적으로 불어나고 있는 물류창고, 사원주택 확보 등에 따른 부동산비용을 상쇄하기엔 역부족"이라고 하소연하고 있다.
수도권 기업들이 이사오기를 학수고대해온 충청도 등의 지자체들도 "땅값이 너무 올라 기업유치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걱정한다.
전문가들은 "수도권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존 공장을 비싸게 팔고 지방에 싼 값의 부동산을 확보하는데 있다"면서 "기업의 지방이전을 추진하려면 지방 부동산값을 안정시켜야 하는데 정부 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 지방 땅값 너무 올라 가고 싶어도 못간다 =인천 남동공단에서 사무용 가구를 제조하는 R기업 L사장은 "1년 전부터 공장을 충청권으로 이전하기 위해 아산, 화성, 포승지역으로 후보지를 물색한 후 지난해 하반기 계약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들 지역의 땅값이 2∼3배 껑충 뛴 사실을 알고 공장이전 계획을 접었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L사장이 점 찍은 곳은 평당 40만∼50만원 정도였으나 1년 새 80만∼1백만원으로 올랐고 건축자재값 상승으로 공장건축 비용도 평당 1백여만원에서 1백50여만원으로 올라 당초 예상했던 이전비용 45억원보다 2배나 많아졌다.
인천의 간판 가전제품 생산업체인 D기업은 "공장을 중국이나 다른 나라로 옮기면 옮겼지, 절대 우리나라에서는 공장을 짓거나 운영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이다.
이 회사의 한 간부는 "여신규제, 공장부지 상승, 인건비 상승, 정부와 관련 기관의 각종 규제 등으로 도저히 기업할 수 있는 환경이 안된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공단 및 이업종교류회 관계자도 "그동안 남동공단 등 수도권 공단의 상당수 입주기업들이 기존 공장을 비싸게 팔고 중부권 등으로 이전한 뒤 남은 자금으로 추가 투자 등을 해왔는데 최근 1년 새 전국적으로 공장용지 값이 너무 올라 지방으로 갈 이유가 없어졌다"고 전했다.
지방으로 이전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 안양에서 정보통신기기 등을 생산하는 C업체는 지난 97년 안성으로 공장을 이전했다가 다시 돌아왔다.
이 회사 K사장은 "현지의 인프라 부족 등으로 물류비용이 가중되고 인력난과 국제비즈니스의 접근성 등이 어려워 다시 돌아왔다"고 말했다.
◆ 중부권의 고민 =천안 아산 등 충청권은 수도권기업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지역으로 그동안 기업유치 실적이 영호남 등에 비해 월등했지만 최근 들어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땅값이 너무 올라 기업들이 주춤거리고 있기 때문이다.
충청남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5월까지 도내에 유치한 기업은 2백3개(2백41만㎡)로 작년 같은 기간의 3백59개(2백18만㎡)보다 43.4%(1백56개사)나 줄었다.
올해 5백개 업체를 유치하려던 계획의 40.6%에 불과하다.
이는 유가상승 등 해외경제 악재와 내수침체 여파도 있지만 신행정수도 건설 계획으로 땅값이 크게 오른 것도 한 요인이다.
실제로 지난달 발표된 개별공시지가를 보면 충남도 전체 필지의 95.7%에서 공시지가가 올랐다.
공장용지로 많이 전용되는 농지값도 농업기반공사 표본조사 결과 지난해 충남이 3만2천2백40원에서 3만7천2백원으로 15.45%나 올라 경기(11.68%) 충북(8.59%)보다 인상률이 크게 웃돌았다.
아산시의 한 관계자는 "신도시 개발, 행정수도 계획 등으로 땅값이 크게 올라 기업들이 공장입지를 구하기 어려운게 사실"이라며 "물류 창고 부지 등의 경우 시세가 평당 30만∼40만원을 넘어서면서 수도권과 별 차이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김인완ㆍ김후진 기자 iykim@hankyung.com
이는 정부가 행정수도 이전, 공공기관 지방이전, 기업도시 건설 등 굵직굵직한 개발호재들을 너무 앞질러 터뜨린 바람에 지방 부동산 값이 폭등, 기업들의 이전비용 부담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인지역 기업들은 "정부가 이전비용 지원 등 각종 인센티브 제공을 약속하지만 지방의 투기열풍으로 폭발적으로 불어나고 있는 물류창고, 사원주택 확보 등에 따른 부동산비용을 상쇄하기엔 역부족"이라고 하소연하고 있다.
수도권 기업들이 이사오기를 학수고대해온 충청도 등의 지자체들도 "땅값이 너무 올라 기업유치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걱정한다.
전문가들은 "수도권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존 공장을 비싸게 팔고 지방에 싼 값의 부동산을 확보하는데 있다"면서 "기업의 지방이전을 추진하려면 지방 부동산값을 안정시켜야 하는데 정부 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 지방 땅값 너무 올라 가고 싶어도 못간다 =인천 남동공단에서 사무용 가구를 제조하는 R기업 L사장은 "1년 전부터 공장을 충청권으로 이전하기 위해 아산, 화성, 포승지역으로 후보지를 물색한 후 지난해 하반기 계약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들 지역의 땅값이 2∼3배 껑충 뛴 사실을 알고 공장이전 계획을 접었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L사장이 점 찍은 곳은 평당 40만∼50만원 정도였으나 1년 새 80만∼1백만원으로 올랐고 건축자재값 상승으로 공장건축 비용도 평당 1백여만원에서 1백50여만원으로 올라 당초 예상했던 이전비용 45억원보다 2배나 많아졌다.
인천의 간판 가전제품 생산업체인 D기업은 "공장을 중국이나 다른 나라로 옮기면 옮겼지, 절대 우리나라에서는 공장을 짓거나 운영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이다.
이 회사의 한 간부는 "여신규제, 공장부지 상승, 인건비 상승, 정부와 관련 기관의 각종 규제 등으로 도저히 기업할 수 있는 환경이 안된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공단 및 이업종교류회 관계자도 "그동안 남동공단 등 수도권 공단의 상당수 입주기업들이 기존 공장을 비싸게 팔고 중부권 등으로 이전한 뒤 남은 자금으로 추가 투자 등을 해왔는데 최근 1년 새 전국적으로 공장용지 값이 너무 올라 지방으로 갈 이유가 없어졌다"고 전했다.
지방으로 이전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 안양에서 정보통신기기 등을 생산하는 C업체는 지난 97년 안성으로 공장을 이전했다가 다시 돌아왔다.
이 회사 K사장은 "현지의 인프라 부족 등으로 물류비용이 가중되고 인력난과 국제비즈니스의 접근성 등이 어려워 다시 돌아왔다"고 말했다.
◆ 중부권의 고민 =천안 아산 등 충청권은 수도권기업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지역으로 그동안 기업유치 실적이 영호남 등에 비해 월등했지만 최근 들어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땅값이 너무 올라 기업들이 주춤거리고 있기 때문이다.
충청남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5월까지 도내에 유치한 기업은 2백3개(2백41만㎡)로 작년 같은 기간의 3백59개(2백18만㎡)보다 43.4%(1백56개사)나 줄었다.
올해 5백개 업체를 유치하려던 계획의 40.6%에 불과하다.
이는 유가상승 등 해외경제 악재와 내수침체 여파도 있지만 신행정수도 건설 계획으로 땅값이 크게 오른 것도 한 요인이다.
실제로 지난달 발표된 개별공시지가를 보면 충남도 전체 필지의 95.7%에서 공시지가가 올랐다.
공장용지로 많이 전용되는 농지값도 농업기반공사 표본조사 결과 지난해 충남이 3만2천2백40원에서 3만7천2백원으로 15.45%나 올라 경기(11.68%) 충북(8.59%)보다 인상률이 크게 웃돌았다.
아산시의 한 관계자는 "신도시 개발, 행정수도 계획 등으로 땅값이 크게 올라 기업들이 공장입지를 구하기 어려운게 사실"이라며 "물류 창고 부지 등의 경우 시세가 평당 30만∼40만원을 넘어서면서 수도권과 별 차이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김인완ㆍ김후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