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18일 행정수도 이전은 예정지 결정, 부지확보, 실시설계 등을 거치면 빨라도 2007년이나 돼야구체적인 착공과 자금투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오전 과천 정부종합청사에서 정례 기자회견을 열고 "행정수도이전은 작년에 국회에서 거의 대다수가 동의했으며 통과된 법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며 "행정수도 이전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국가 정책중의 하나"라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이어 "지금부터 시작해도 수도 예정지를 결정하고 부지를 확보하고실시설계를 거치고 나면 빨라도 2007년이나 돼야 구체적인 착공과 자금투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따라서 "당장의 재정수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현 경제상황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하반기 경기전망과 관련, "하반기에도 수출을 주도로 하는 성장이지속될 것이지만 4.4분기부터는 전년동기 대비 수출증가율이 한자릿수로 내려가는착시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며 "그러나 월 200억달러의 수출 호조세는 꾸준히 진행될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부총리는 올해 성장률에 대해 "5%대 성장이 가능할 것이며 내수나 투자의 회복속도가 빨라지면 그보다 높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내수 회복 여부에 대해서는 "2.4분기말부터는 서서히 밑바닥을 치고 상승할 것으로 판단하지만 속도는 느릴 것"이라고 여전히 낙관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는 추경 편성을 추진중인 4조5천억원 가운데 2조원은 국회 의결절차를 거치지않고 곧바로 집행하고 나머지는 국회가 열리는 대로 동의절차를 밟겠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보완대책 없는 국가 네트워크 산업의 민영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밝혔다. 그는 "국가 네트워크와 관련된 산업을 민영화할 것인지, 아니면 국영 또는 공기업 형태로 가져가는 것이 맞는 것인지를 놓고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네트워크가 필요한 공공성을 가진 사업의 민영화는 좀 더 신중하게 검토할필요가 있다는게 참여정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본인 생각으로도 아무런 보완대책 없이 그냥 민영화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말해 국가 네트워크 산업의 민영화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