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최근 재외 공관에 파견된 무관(武官)의 의전 서열을 2단계나 강등시킨 데 대해 군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11일 국방부에 따르면 전세계 40여개 공관에 파견된 무관들의 의전상 서열이 그동안 대사 아래인 공사 또는 공사 참사관급 지위에 해당됐으나 최근 참사관과 일등 서기관의 중간 등급으로 강등됐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해외공관장 근무와 관련된 서열을 외교부 장관이 정할 수 있다'는 예규를 근거로 대령급 무관의 의전서열을 낮추는 등의 서열정비를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서열정비로 공관 내 넘버 `2급'의 대우를 받아오던 무관의 의전서열이 4∼5번째로 낮아진 셈이다. 이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국무총리 훈령에 따른 계급환산표에 손을 대지 않은 채 외교부 장관 예규 만으로 의전직급을 조정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 주재국의 아그레망을 통과해야 하는 사람은 대사와 무관 2명뿐이다"라고 항변했다. 그는 또 "공관 내 인사와 예산 권한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외교부가 무관 의전서열까지 낮추려는 것은 모든 정부부처 파견 공무원들을 장악하기 위한 불순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의심된다"고 비난했다. 특히 국방 무관들이 주재국 국방장관이나 장군들과 수시로 접촉해 국산무기 수출을 위한 상담이나 로비활동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의전상 서열 강등은 방산물자 수출에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군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1980년대 신군부 계엄하에서 비정상적으로 격상됐던 의전 서열이 제자리를 찾은 것이다. 서열정비는 국방부와 사전조율을 거쳐 단행했다"며 군의 비난을 일축했다. 재외공관에서는 의전 서열에 따라 만찬석 자리를 배정하고 교민이나 해외진출 국내업체들이 주최하는 골프대회나 술자리에 주로 참사관급 이상만 초청되기 때문에 이러한 혜택은 주로 외교부 직원들이 누리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황대일 기자 had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