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가능하면' 7일 서울에서 열리는제9차 미래 한미동맹정책구상회의(FOTA)를 통해 용산기지 이전협상을 마무리한다는입장이지만 협상 변수가 많아 타결 전망은 그렇게 밝아 보이지는 않는다. 주한미군 감축에 따른 기지이전 비용 축소 주장과 시민단체의 이전반대 투쟁,해당 광역자치단체인 경기도의 신중한 입장 등이 풀어나가야 할 변수들이다. 특히 기지이전 비용 축소 주장은 FOTA 개최기간에 맞춰 해외주둔 미군재배치(GPR) 협상을 위한 한.미 3자위원회가 열린 가운데 주한미군 감축 논의가 본격화될 예정이어서 그 목소리가 더욱 거세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 주장의 핵심은 용산기지 이전을 포함한 주한미군 재배치가 미국의 GPR 전략에 따른 것인데, 왜 우리 정부가 막대한 이전비용을 전담하느냐는 것이다. 현재 용산 기지 이전비용은 30억∼40억달러로 추산된다. 일부에서는 앞으로 주한미군이 1만2천명 정도 줄어들 경우 남한내 미군기지의시설과 규모도 그 비율에 맞춰져야 하며, 따라서 용산기지 이전과 오산.평택 기지규모에도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까지 내놓고 있다. 용산기지 이전과 관련한 시민단체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상임대표 문규현)을 필두로 한 상당수 시민단체들은 용산기지 이전비용을 전액 한국이 부담하고 평택에 320만평의 대규모 대체부지를제공하는 용산기지 이전 가서명은 국민들에게 엄청난 재정부담을 초래할 것이라며전면 재협상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9차 FOTA 기간에 회의 장소에서 이러한 입장을 전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용산기지를 포함한 미군기지들의 이전 예정지인 평택의 현지주민들의 반응은 이보다 더하다. 기존의 457만평의 미군기지로도 '참을 수 없는' 고통을 받고 있으며, 기지 이전이 강행될 경우 육탄저지 투쟁도 불사하겠다는 각오이기 때문이다. 이전 예정지인 평택에서는 미군기지확장반대평택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지이전은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결정된 것이기때문에 원천무효"라며, 아예 기지 이전을 위한 토지수용을 거부하겠다는 태세다. 반면 상권 활성화를 희망하는 평택 인근의 송탄관광특구 상인들은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손학규 경기도지사를 포함한 경기도는 지난 해 "주한미군 2사단의한강이남 재배치는 신중히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으며, 올들어서도 아직까지확실하게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사태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처럼 여러가지 난관에도 불구, 정부는 용산기지 이전 및 주한미군 재배치 협상에 어느 정도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주 관련 부처 실무자들이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용산기지이전과 관련) 매우 유익한 접촉을 가졌으며 실무적으로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말해 이번 9차 FOTA에 기대감을 표시했다. 정부는 또 주한미군 감축을 골자로 한 GPR 협상이 용산기지 이전 협상의 걸림돌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두 협상을 '투 트랙'으로 진행한다는 전략이다. 용산기지 이전협상은 FOTA에서, GPR 논의는 한미 3자위원회에서 다룬다는 것이다. 용산기지 이전협상은 그간 8차례의 FOTA를 통해 2006년까지 용산기지를 한강이남으로 완전히 옮기기로 하고 이전에 필요한 법적토대인 포괄협정(UA)과 이행합의서(IA) 작성을 위한 협의를 거쳐 가서명 직전 단계에 와있다. 한미 양국은 또 그동안의 협상에서 한미 연합군사령부와 유엔군사령부를 한강이남으로 완전히 옮기되 모든 이전비용을 한국이 부담한다는 데 원칙적인 합의를 이룬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인교준 기자 chu@yna.co.kr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