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金大煥) 노동장관이 1일 노사정위원회의정상 복원을 위한 `노사정 지도자회의'에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대표가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한때 논란이 일었다. 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전날 언급한 `5자 대화'의 의미에 대해 "지도자회의에 포함되는 형식으로, 필요할 때 중소기업 대표와 비정규직 대표가 참석해 논의하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이는 청와대측이 전날 `5자 대화'와 관련한 질문에 대해 `5자'의 당사자는 대기업 노사, 중소기업 노사, 정부이며, 향후 노사정위원회 개편방안에서 논의될 사항이라고 밝혔던 것과는 차이가 있는 것. 이에 따라 청와대측은 김 장관의 발언 내용이 언론에 보도된 직후 `5자 대화'에 대한 정리된 입장을 내놓는 등 자칫 노사정 대타협의 결과가 혼선으로 비쳐지는데 대한 조기 진화에 나섰다.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은 `5자 대화'에 참여하는 당사자에 대해 "대통령에게 확인한 것"이라고 전제, "대기업 노와 사, 중소기업의 노와 사, 그리고 정부를 얘기하는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이원덕(李源德) 청와대 사회정책수석도 예고없이 기자실을 찾아 "`5자 대화'는 대화의 틀에 관한 일반적인 원칙을 말한 것이지 반드시 비정규직을 넣겠다고 언급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노사정위 개편방안, 노사관계 법제도 선진화 추진일정 등의 의제를 다루기 위한 지도자회의는 6인으로 이뤄진다는 점에 변함이 없다"며 노사정 지도자회의와 `5자 대화'의 연관성을 부인했다. 그는 다만 "지도자회의가 긴급한 노동현안을 다룰 경우 중소기업 대표, 비정규직 대표 등 이해를 대표할 수 있는 당사자를 소위 `참고인' 자격으로 참석시켜 얘기를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지도자회의에서 노사정위의 명칭 및 구성 변경, 합의담보 기구 구성등 개편방안이 논의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5자 대화' 등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자는 정신이 담길 것으로 보며, 현재의 노사정위 구성이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