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 소환투표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짓는, 이른바 소환 청원 투표 서명자 확인 작업이 지난 28일부터 시작돼 30일 끝난다. 확인 작업 이틀째를 맞은 29일 서명서 확인 작업이 이뤄지는 전국의 투표소 주변에서는 친-반 정부 세력간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는 등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고 현지 언론들이 전했다. 친정부 세력들이 야권에 동조하는 보도를 한다고 비난해온 일부 언론매체 기자들은 서명서 확인 작업 취재 과정에서 얻어맞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야권 연합체인 `민주주의 조정(CD)' 대표이자 베네수엘라 최대 노조연맹을 이끌고 있는 마누엘 코바 위원장은 시민들이 위협을 받고 확인 작업에서 일부 노출되고 있는 기술적 문제점에도 불구 서명 확인에 나서는 유권자 수가 상당수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100만명이 넘는 서명서 검증 대상자 가운데 최소한 55만명 정도만 자신의 서명사실을 확인하면 차베스에 대한 소환투표를 실시할 수 있는 헌법적 조건을 충족하게된다. 이에 맞서 친정부 정당들은 시민, 특히 공무원에 대해 이름을 없애 서명을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약 일주일 후 서명인 검증에 대한 선거 당국의 발표에서 차베스 소환투표를 결정할 경우 엄청난 파장을 갖고 올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미국 애틀랜타 소재 카터센터를 이끌고 있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콜롬비아 대통령을 지낸 세사르 가비리아 미주기구(OAS) 사무총장은 이날 수도 카라카스에서 국제 참관인단의 소환투표 감시 활동을 직접 주관하는 등 대내외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선거당국에 따르면 차베스 대통령에 대한 소환투표를 실시하기로 확정될 경우소환투표는 오는 8월8일 실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베네수엘라 야권은 지난해 12월 대통령 소환투표를 실시할 수 있는 유권자수(240만명)보다 많은 340만명의 서명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 가운데 약 100만명분의 서명은 서명서 작성 과정에서 야권 관계자들에 의해 대리 작성되는 등 문제가 있어 서명인을 재차 확인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소환투표 결과 차베스 대통령 소환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차베스 대통령이 지난2000년 대선에서 재선될 때 얻었던 376만표보다 많은 표가 나와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차베스의 지지도는 40%에 달해 소환투표가 부결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차베스 반대자들은 그가 쿠바식 독재정치를 강행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반면 차베스 지지자들은 베네수엘라 수십년 정치역사에서 처음으로 그가 빈민을 위한 정치를 펴고 있다고 주장한다.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김영섭 특파원 kimy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