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길(曺永吉) 국방부 장관은 19일 주한미군 일부 병력의 이라크 차출과 관련, "오늘 아침 리언 라포트 한미연합군사령관과의 논의과정에서 미측 현지 사령관이 `늦어도 8월 15일까지는 (주한미군을) 꼭 보내줘야 차질이 없겠다'는 얘기를 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차출시기 연기를 요구해야 하는 것아니냐'는 한나라당 박세환(朴世煥)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하고 "어차피 가는 것으로 됐는데 차출시기를 한두달 늦추자고 하는 것은 우방인 미국의 입장을 너무 도외시하는 우리만의 이기적인 생각"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차출규모에 대해 "대략 3천500-4천명선에서 결정되는데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 "라포트 사령관으로부터 `내일 미국 워싱턴으로 출장을 가 최종확정하게 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14일 아침 주미 한국대사관을 통해 외교부로 차출계획이 통고된 것으로 안다"면서 "통보를 받고 곧바로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 미국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는데 한반도 안보만 생각해 안된다고 우리쪽 주장만 할 수는 없지 않느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미군차출이 미군감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조 장관은 "갔던 병력이 원대복귀할지, 일부 또는 전부가 복귀하지 않을지는 아직 논의된 바 없고 앞으로 한미간에 진지하게 논의할 사항인 만큼 차출을 감축개념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너무 성급하다"면서 "라포트 사령관이 이런 문제를 확정짓기 위해 출장을 간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사전에 충분한 협의기간이 없었던 것은 사실이나 이라크 상황이 너무 긴박하기 때문에 미국의 입장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정부의 입장을 관계장관회의에서 정리했다"면서 "이번에 차출되는 부대는 동두천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라크 추가파병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이라크에 전투병력이 차출되는 것을 추가파병과 연계시키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추가파병은 국제사회와의 약속이고 국민적 합의과정을 거쳐 국회에서 결정된 사안인 만큼 원칙대로 앞으로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관계장관회의에서 미군 3천600명 정도가 차출되면 국군 3천600명은 갈 필요가 없지 않느냐는 논의는 없었느냐'는 민주당 이만섭(李萬燮) 의원의 질문에 "그런 문제도 내부적으로 고려하고 검토도 했으나 전투병을 전투지역에 배치하는 것과 자이툰 부대의 파병목적이 달라 차출병력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양해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이라크 아르빌에서의 협의가 내일까지 끝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협의가 끝나는 대로 협조단을 보낼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파병지연이 부득이한 것이라는 것은 한미 양국이 모두 이해하고 있어 이번 미군차출과 연결시키는 것은 기우"라고 덧붙였다. 조 장관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2천여명의 주한미군이 이미 이라크로 차출됐다'는 한나라당 박 의원의 주장과 주한미군사령부 및 주일미군사령부를 극동사령부로 재편한다는 일부 언론보도 등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서울=연합뉴스) 민영규기자 youngky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