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집권 2기에 펼칠 '개혁'의 실체에 대해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각종 부패와 부조리를 뿌리뽑고 건강한 시장을 만들기 위한 '개혁'이 될지,아니면 분배를 중시하는 연장선상에서의 '개혁'이 추진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다. 이와 관련,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경제의 투명성을 높이고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개혁"이라며 "시장의 책임을 강화하고 신규 진입과 퇴출을 자유롭게 만드는 개혁이라면 성장정책과 병행해서 추진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부총리는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 판결을 하루 앞둔 지난 13일 "선장(경제부총리)에게 모든 것을 맡겨달라"고 공개적으로 주문,노 대통령과의 교감 아래 이 같은 발언을 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기도 했다. 노무현 정부가 올해 추진하는 정책들 중 '개혁'과 관련해 관심을 모으는 정책은 △대기업이 사모펀드 등을 통할 경우 출자총액제한 완화 △스크린쿼터 재조정 △금융계열사 보유주식 의결권 축소 등이다. 재계를 포함한 경제계에서는 일부 혼선을 빚고 있는 정책들의 우선순위부터 명확히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좌승희 한국경제원장은 "성장과 개혁을 모두 하겠다는 욕심으로는 아무런 성과를 낼 수가 없다"며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데 지금은 성장을 확실하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