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년사이 대구에 20층이상의 고층아파트가 속속 들어서고 있는 가운데 도시교통.환경의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2000년이후 대구시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은 20층이상의 고층 아파트는 64건의 3만8천906가구다. 그 내용을 보면, 공동주택은 2000년 10건(7천56가구), 2001년 11건(1만82가구), 2002년 4건(3천242가구), 지난해 18건(1만1천715가구) 등이며, 주상복합건물은 2002년 6건(2천633가구), 지난해 15건(4천178가구) 등이다. 300가구이하의 아파트는 구청별로 건축허가를 받기 때문에 실제는 이 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층 아파트는 도심 스카이라인 형성과 토지이용 효율성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일조.조망권 침해, 교통체증 유발, 상하수도시설 및 녹지공간 부족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 특히 고층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낙후된 서구와 달성군에는 전혀 없는 반면 인구밀집지역인 수성.달서.중.북구 등에 집중돼 도심 체증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대구시 이승호 교통국장은 "고층 아파트 허가 때 건축.교통.환경영향심의를 거치지만 무리하게 규제하기는 어렵다"면서 "현재도 교통.환경의 문제가 있지만 20-30년후 고층 아파트의 노후화와 재건축 등이 다른 사회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교통영향평가심의(부지 30만㎡이상)는 대기오염과 비산먼지, 소음, 생태 복원 등을, 환경영향평가심의(건축연면적 6만㎡이상)는 환경의 오염.파괴와 원상 복구를 각각 집중 검토하지만 종합.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대구대 최병두(지리학과) 교수는 이와관련 "수성구 황금주공아파트 재건축과 트럼프월드는 근접해 있어 황금 네거리의 교통 체증을 유발할 것"이라면서 "두 곳에 대한 교통.환경영향평가가 따로 실시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또 "개발업자들이 최근 전매와 분양가 인상 등의 이점을 노리고 주상복합건축물 건축허가를 무더기로 받았다"면서 "특히 수성구에 고층 아파트가 많아 의료.상업.학교 등의 집중화에 따른 지역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북대 최무혁(건축학부) 교수는 "고층 아파트를 짓더라도 한 단지의 용적률을 정해 두고 층 수를 변화시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거나 녹지공간을 최대한 늘리는 쪽으로 건축심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시 전체의 미관과 인근 주민의 일조.조망권 침해 등의 민원을 막기 위해 시 조례에 도심.주택가 지역에 고층 아파트 신축을 억제하는 스카이라인을 지정해야 한다는 여론도 있다. 경북대 이시철(행정학과) 교수는 "고층 아파트가 교통.환경의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은 분명한데 대도시의 주거단지를 늘리기 위한 뾰족한 대안이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대구=연합뉴스) 박순기.한무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