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6자회담 실무회의에서 핵개발 계획 포기와 맞바꾸는 형식으로 미국과 양자간 `안전보장'문서를 작성하되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서명을 요구했다고 아사히(朝日) 신문이 16일 미국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측 대표인 리근 외무성 미주국 부국장은 회의에서 이같이요구하고 일본을 비롯한 다른 참가국의 서명은 `무례하다'며 거부했다. 미국 정부 관계자는 부시 대통령이 서명할 가능성은 없다고 전하고 "북한은 양보는 커녕 오히려 요구를 들이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리근 부국장은 회의에서 "미국이 적대정책을 그만두지 않으면 자위목적의 핵억지력을 포기할 수 없다"면서 `안전보장'의 문서화를 요구했다. 리근 부국장은 문서에는 부시 미국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2명이 서명해야하며 다른 참가국 정상의 서명은 `무례'라며 거부했다. 부시 대통령은 작년 10월 아시아 순방때 `안전보장' 문서화에 응할 용의가 있음을 밝힌 바 있으며 서명에도 전향적인 자세를 보였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의 이런 입장표명은 어디까지나 6자회담이라는 다자틀 내에서의 문서화를 전제로 한 것이며 서명도 참가 6개국 정상이 같이하는 것을 전제로한 것이기 때문에 미국으로서는 북한과의 양자간 서명에는 응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라고 아사히는 전했다. 미국은 94년 10월 북미기본협정 합의와 관련해 당시 빌 클린턴 대통령의 서명이들어간 서한을 김정일 위원장에게 보낸 적이 있으나 `미 합중국대통령'이라는 직책을 명기하지 않은 약식이었으며 기본협정에도 미국 국무부차관보와 북한 외무성 부상이 서명했다. 이 관계자는 "김정일 위원장을 몹시 싫어하는 부시 대통령이 2명만의 서명에 응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이런 요구를 들이대고 있는 것은 "평화목적의 핵을 유지하는데 중국과 러시아 양국의 지지를 얻는 등 6자회담에서 자신들의 주장이 일정한 이해를 얻고 있다는데 자신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6자회담에서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은 허용돼야 한다는 입장을분명히 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