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포로에 대한 미군의 무차별 고문 및 성학대 사실이 잇따라 폭로되면서 아랍권은 물론 전세계가 미국을 비난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미국무부는 미국의 인권보고서 발표를 연기했다. 이집트 일간지 알 와프드는 지난 4일 미군들에 의해 이라크 여성이 강간당하는 모습을 담은 4장의 사진을 게재하면서 미국을 격렬히 비난했다. 이집트인권기구(EOHR)는 유엔에 대해 성고문을 자행한 미군을 심판하기 위한 국제법정 설치를 요구하고,50명의 레바논 인권 운동가들은 유엔사무소 밖에서 조지 W 부시 미대통령을 '암살자'라고 비난하며 반미시위를 벌였다. 동맹국들도 대미 비난대열에 합류,미국을 더욱 궁지로 몰고 갔다. 유럽연합(EU)의 디에고 오제다 대변인은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면서 "위반이 일어났다면 반드시 처벌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일언론들은 도널드 럼스펠드 미국방부 장관의 사임을 요구했고,헝가리신문들은 "워싱턴은 사담의 잔혹한 행위를 말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미정부는 포로학대 파문이 확산되자 5일로 예정됐던 '인권과 민주주의를 지지하며:미국의 기록'이라는 연례 인권보고서 발표를 연기했다. 미국무부는 "기술적인 이유로 보고서 발표가 연기됐다"고 밝혔지만 포로 학대 스캔들 때문에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훈 기자 lee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