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경제쇼크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전체 산업의 절반 가까이가 중국의 경기과열 억제정책이 본격화될 경우 기업경영에 악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6개 업종별 협회를 대상으로 조사해 3일 발표한 '업종별 원자재난 실태 및 애로'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긴축이 경영여건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는 업종은 단 한 곳도 없었으며, 전자와 정유, 기계, 타이어, 석유화학, 제지,섬유 등 7개 업종은 '악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동차와 반도체, 건설, 신발, 석탄 등 나머지 9개 업종은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중국발 쇼크로 인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철강과 조선업종은 집계가 늦어져 이번 조사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전자와 섬유, 건설을 비롯한 9개 업종은 중국의 긴축정책이 본격화될 경우원자재난 해소시기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3-4개월 가량 앞당겨져 올 3.4분기나 4.4분기 중에 원자재난이 해소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원자재난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는 업종은 건설업으로 올들어 9천800억원의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으며 그 다음으로 전자(2천500억원)와 자동차(2천억원), 섬유(1천700억원), 합판보드(200억원), 제분(200억원) 등의 순으로 생산원가 상승비율로 볼 때 최고 20-30% 가량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난이 올해 말까지 지속될 경우 연간 예상 피해규모에 대해서는 건설 3조원, 전자 2조8천억원, 섬유 1조900억원, 섬유 600억원 등으로 조사됐다. 생산원가 상승분의 제품가격 반영과 관련, 8개 업종이 1-10%만 반영할 계획이며생산원가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를 물량증대와 생산비 절감, 신제품 개발 등을 통해 극복중이라고 밝혔다. 업종별 협회는 원자재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정부의 최우선 대책으로 ▲수입관세 인하 ▲각종 세금인하 ▲생산비 보조 ▲판매가격 보조 등을 꼽았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기자 eomn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