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대한적십자사, 민간 단체들은 평북 룡천참사 긴급구호 및 피해복구 지원을 논의하기 위해 이른 시일안에 공동으로 협의체를구성, 중복지원 등을 피하고 효율적 대북지원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윤구 한적총재와 이용선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 등 20여개의 대북지원단체 대표들은 이날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간담회를 열고 정부와 민간이 제각기 대북지원을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데 공감하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이 총재는 "한 지역에 한 목적을 갖고 지원하는데 남쪽에서 제각기 나서는 것보다는 함께 논의해 같이 가는 방향이 좋겠다"며 "물자는 각 단체가 마련하되 수송은한 선박에 같이 싣고 운임료는 한적이 부담하는 게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적을 통해 창구단일화를 하려고 하는 것은 절대로 아니며 단지 중간에서 심부름을 하는 것"이라며 "지원물자는 각 단체의 명의로 하고 각 단체의 북측 파트너에게 정확히 전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단체들이 제각각이 아니라 하나가 되어 움직이는 모습을 북측에 보여줄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이종렬 한적 남북협력위원장도 "시멘트 등 피해복구에 필요한 건설자재와 장비등은 정부가 제공할 것이므로 대북지원 단체들은 탁아소.유치원.소학교 등에 필요한교구비품과 어린이와 학생들을 위한 의류 등을 지원하는 데 초첨을 맞쳤으면 한다"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이용선 사무총장은 "긴급구조 성격의 물자는 많으나 적으나 큰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한 뒤 "그러나 앞으로 복구에 본격 들어갈 경우 정부와 단체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YMCA 관계자는 "시기적절하고 반드시 필요한 물자들이 어떤 것인지 어떤 루트를보내야 할지 어려움이 있다"며 "정보교환이 없이 제각각 보낼 경우 불필요한 물자가중복될 수 있다"며 이 문제를 우선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병웅 한적 총재 특보는 "한적 룡천재해대책본부 상황실에 정보센터를 설치해 정보를 교환하고 지원물자품목을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최선영 기자 chs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