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8일 북한의 용천 폭발참사 복구지원 요청과 관련,가급적 수용키로 하고 쌀과 밀가루 각각 5천t 등 모두 2백50억원 상당의 물품을 북한에 지원키로 했다. 이에 필요한 재원은 국민 성금과 남북협력기금을 활용해 충당키로 했다. 정부는 이날 열린우리당과 당·정협의,관계부처 실무자회의를 갖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정부는 29일 고건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열리는 국정현안정책조정회의에서 구체적 지원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당·정은 인도적 차원의 대북 지원을 위해 국민 동참과 초당적 협력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열린우리당 정세균 의장은 "당은 북측이 요청한 물품이 사태의 실질적 수습을 위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북한이 요청한 복구 자재·장비의 품목과 수량을 가급적 충족시켜 주기로 의견일치를 봤다"고 말했다. 북측은 전날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열린 용천참사 구호지원을 위한 남북회담에서 시멘트 5만t,불도저 10대,책걸상 1천5백개,식량 1만t 등 13개 필요품목과 수량을 제시했었다. 정부는 이와 별도로 28일 낮 4억5천만원 어치 상당의 1차분 긴급구호품과 17억원 어치 상당의 의약품 등을 실은 한진해운 한광호(1천5백34t급)를 남포항으로 출발시켰다. 이들 구호품은 29일 오전 남포항에 도착,이르면 당일 밤 용천 피해주민에게 전달될 것으로 보인다. 30여개 시민단체가 결성한 '용천동포돕기본부'도 28일 오후 6시30분 인천항에서 카페리호를 통해 1백억여원 상당의 생필품과 의약품을 중국 단둥으로 보냈다. 한편 미국 리처드 바우처 국무부 대변인은 27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유엔의 대북식량지원 요청에 대해 "북한이 매우 신속히 1천t의 식량을 받기를 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것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바우처 대변인은 지난해 말 6만t의 식량 지원을 약속했고 올들어 9천7백t을 제외한 분량이 이미 인도됐으며 나머지도 곧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