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열린우리당 등 여권내에서 여대야소 정국 전환에 따른 정무영역의 확장과 원만한 대야(對野)관계 형성을 위해 정무장관직부활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정국이 여대야소(與大野小)로 전면 개편된 상황에서, 더욱이 열린우리당이 원내 과반의석을 점한 상태에서 정무기능의 역할 강화가 절실하다"며 "따라서 정무장관직 부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 김혁규(金爀珪) 전 경남지사는 지난 16일 청와대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오찬을 함께한 자리에서 "명실상부한 집권여당이 된 만큼 여야가 상생의 정치를 하는게 필요한것 같다"면서 "이를 위해 국무위원인 정무장관직을 신설해 자유롭고 중립성을 지키면서 여야를 두루 접촉토록 하는게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고 건의했고, 노 대통령도 공감을 표시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김원기(金元基) 상임고문도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그동안 막혀있던 정부와 정당이 활발하게 대화하려면 장관급인 정무장관이 있으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무장관직 부활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고문은 또 "김대중(金大中) 정부시절 정무장관직 폐지로 야당 의원들이 청와대에 들어간 적이 거의 없는 등 왕래가 끊겼다"며 "정무장관이 있으면 여야 대화에도움이 될 것"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정무장관직이 신설될 경우 노 대통령이 21일 열린우리당 지도부와의청와대 만찬에서 당과 청와대간 정치적 대화채널로 지목한 문희상(文喜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유력한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문 고문은 `대권주자 배제설'이 힘을 받을 경우 관리형으로 차기 국무총리와 당의장 카드로도 검토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어, 한나라당 입당파인 이부영(李富榮) 상임중앙위원과 유인태(柳寅泰) 전 청와대 정무수석, 영남출신 낙선자인 이 철(李 哲) 전의원 등의 기용가능성이 거론된다. 그러나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당정분리 차원에서 대통령이 명예직으로 있겠다고한만큼 대화창구와 의사전달 등은 정치특보가 하면 될 것"이라며 부정적 의견을 피력했다. 한편 정무장관직은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 시절 홍사덕(洪思德) 정무1장관을마지막으로 지난 98년 김대중(金大中) 정부가 들어서면서 폐지됐다. (서울=연합뉴스) 전승현기자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