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중립과 공무원만의 독자노선을 표방한 공무원노조단체인 전국목민(牧民)노동조합총연맹(전목련)이 20일 공식 출범한다. 목민은 정조때 문신.학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관리의 치민(治民)에 대한 도리(道理)를 논술한 책 `목민심서'에서 따온 것으로 `국민과 함께' `국민을 위하는'이란 의미로 재해석했다고 전목련측은 설명했다. 이로써 공무원노조단체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와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등 기존 2개에서 3개로 늘어나게 됐다. 전목련은 행정자치.교육.문화관광.통일.산업자원.여성부 등 12개 중앙부처 소속200명과 서울시청.구청 등 10개 자치단체 소속 300명, 국립중앙박물관 등 중앙부처직속기관 및 서울시청 산하사업소 등의 70여개 직장협의회 소속원 등 2만여명의 조합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3개 단체는 모두 6급이하 공무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합법적으로 인정받지못하고 있는 법외(法外)노조이다. 전공노는 가입자가 13만여명, 공노총은 4만여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목련은 이날 오후 채택할 창립선언문에서 "관료주의 병폐와 공직사회 내부의각종 차별을 과감히 철폐하고 부정부패를 척결하며 대국민서비스를 향상시키는 한편민주행정을 실현해 건강하고 생산적인 공직사회를 만드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전목련은 강령으로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무 준수 및 민간노동단체를 배제한공무원만의 독자노선과 자주적 노동운동 견지 ▲노동기본권 조기회복 ▲국가와 국민을 위한 공직자,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역할 수행 ▲공무원의 권익.지위향상 ▲공직사회 내부의 각종 차별 철폐 등을 채택했다. 전목련은 세부실천과제로 기관장 판공비 주기적 공개추진과 공직부패 제로(zero)화운동 전개, 불합리한 행정관행 철폐, `민원처리 법정기일 1일 줄이기운동' 전개혈세낭비감시단 설치 등을 제시했다. 박용식 초대 전목련위원장(행자부 공직협회장)은 "정당 등 정치단체나 민간노동단체에 가입하거나 연대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투쟁이 아닌 명분과 논리로써 우리의 목표를 달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무원노조가 합법화될 때까지 대외적으론 전목련 준비위원회로서 활동하지만 내용상으로는 전목련 공식출범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행자부의 한 고위간부는 "전목련의 노선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별 문제될 것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동계 일각에서는 전목련 출범으로 공무원 노조단체들간의 선명성 및조합원 확보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권오연 기자 coowon@yna.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