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이 열린우리당의 압승으로 끝남에 따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입당 문제도 서서히 관심사로 대두하고 있다. 물론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문제가 걸려있어 입당 문제가 시급한 일은 아니나 기왕에 국민에게 한 약속이고, 원내 과반을 확보한 상황에서 책임정치 구현이라는 측면에서도 조기 입당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여권 분위기를 종합하면 헌재 심판이 완료되거나 또는 여야간 타협을 통한 정치적 해법이 도출된 뒤 적절한 시점을 택해 입당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노 대통령의 입당은 특히 정국이 여대야소(與大野小)로 전환됐고 우리당이 과반을 확보한 상황에서 기존의 당정분리 원칙을 그대로 고수할 것이냐 하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무엇보다 노 대통령이 입당함으로써 여권내 역학구도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일단 노 대통령은 입당하더라도 총재직을 겸하지 않고 공천권과 당직임면권도 갖지 않는 이른바 `당정분리' 원칙을 고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도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노 대통령이 입당하더라도 과거 제왕적 대통령제 시절과는 분위기가 크게 다를 것"이라며 "대통령은 총재직을 갖거나 공천권을 행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떻든 노 대통령이 입당을 결정하면 이는 곧 당과 정부, 나아가 청와대, 이른바 당(黨).정(政).청(靑)간 정책협의가 대폭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29일 민주당 분당을 계기로 탈당한 이래 지금까지 무당적 상태를 유지해왔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