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폭등하면서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 오일쇼크는 지난 70년대 두 차례 발생했다.


1차 오일쇼크는 1973년 10월 제4차 중동전쟁을 계기로 발생했다.


이집트와 시리아의 이스라엘에 대한 양면 기습작전으로 시작된 이 전쟁은 미국과 소련의 개입으로 마감됐다.


이후 아랍 산유국들은 이슬람교도의 입장에서 이스라엘에 우호적인 국가들에 대해 석유 공급을 제한 또는 금지하는 보복조치를 취했다.


이해 11월4일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원유생산량을 25%나 감산한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1973년중 배럴당 2.5달러선에서 유지되던 국제 유가는 이듬해 초에는 배럴당 11.7달러까지 치솟았다.


아랍 산유국들은 소비국을 우호국과 비(非)우호국으로 나눠 우호국에는 감산에도 불구하고 종전대로 석유를 공급했다.


한국은 비우호국으로 분류됐다.


당시 한국에 원유를 공급하던 미국의 걸프 칼텍스 유니언 등 3사는 공급량을 감축하겠다고 통보해 왔다.


한국은 공업화로 원유 소비량이 엄청나게 늘어난 데다 1973년부터 시작된 중화학공업 건설 계획으로 원유 공급 차질은 경제에 결정적 타격을 미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이들 미국 원유사들과의 끈질긴 협상을 통해 원유 공급 약속을 받아내는데 성공했다.


그 덕에 다른 나라들에 비해선 1차 오일쇼크의 영향을 덜 받았다.


특히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중동 건설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을 채택, 오일쇼크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을 수 있었다.


2차 오일쇼크는 1978년 12월 OPEC의 유가 인상 결정으로 시작됐다.


이란이 국내 정치(이슬람 혁명)ㆍ경제적 혼란을 이유로 원유 생산량을 대폭 감축하고 수출을 중단한 것도 한 요인이 됐다.


1차 석유파동 때 배럴당 10달러선을 조금 넘었던 유가는 불과 6년 사이 20달러선을 돌파했으며, 현물시장에서는 배럴당 40달러까지 치솟았다.


한국은 1차쇼크 때와 달리 2차 때는 극심한 피해를 입었다.


70년대 초반부터 진행된 중화학공업 중심의 경제성장 정책으로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