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총선시민연대와 물갈이 국민연대가 각각 당선.낙선 명단을 발표한 뒤 같은 지역구에서 낙선대상자는 `한나라당-민주당-자민련',지지후보는 `열린우리당-민노당'의 대결구도를 보여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이들 단체가 17대 총선에서 각기 다른 유권자운동 전략을 택해 리스트를발표했다고 하지만 낙선.지지 대상자가 겹치는 지역구가 33개에 달해 유권자의 혼란과 정치권의 공정성 시비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9일 낙선 및 지지 대상자 명단을 분석한 결과, 서로 겹치는 지역은 서울의 경우 10곳(종로,영등포갑,강북갑,용산,도봉갑,구로갑,성동을,송파갑,동대문갑,강서갑), 인천 2곳(서구.강화군을,부평을), 광주(남구).대구(수성갑) 각각 1곳으로 나타났다. 또 울산 2곳(동구,북구), 경기 5곳(성남시 중원,안양시 만안,성남수정,수원팔달,고양일산갑), 강원 3곳(동해.삼척,홍천.횡성,춘천), 충남 2곳(논산.계룡.금산,천안),전남 1곳(여수을), 경북 2곳(군위.의성.청송,구미갑) 경남 3곳(거제,남해.하동, 창원을), 제주 2곳(북제주군을,북제주군갑) 등으로 전국에 걸쳐 있다. 이 가운데 `낙선(한나라당)-지지(열린우리당)' 구도를 보인 지역구는 모두 13곳이며, `낙선(민주당)-지지(열린우리당)'는 4곳, `낙선(자민련)-지지(열린우리당)'는4곳을 각각 기록했다. 또 `낙선(한나라당)-지지(민노당)'은 6곳, `낙선(민주당)-지지(민노당)'와 `낙선(자민련)-지지(민노당)' 구도를 보인 곳은 각각 1곳씩이었다. 더욱이 이라크 파병반대 국민행동은 탄핵안 찬성의원에 대해 낙선운동을 펼치고총선교육연대, 기독교총선연대, 보수단체의 낙선리스트 등도 각각 발표돼 17대 총선지역구 곳곳에 낙선대상자가 포진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6대 총선에서 `2000년 총선연대'가 단일한 낙선리스트를 발표해 파괴력을 발휘했던 것과 달리 이번 총선에서 시민단체의 리스트는 유권자들에게 광범위한영향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권자 박길성(43)씨는 "부패.비리 정치인과 탄핵안에 찬성한 국회의원을 17대총선을 통해 심판해야 한다는데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며 "다만 낙선.당선 리스트는나의 투표원칙을 재확인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유권자 김인주(27)씨는 "시민단체의 당락운동의 취지를 이해하지만 탄핵안 찬성의원을 낙선.당선리스트에 반영하면서 오해를 살만한 대결구도가 빚어졌다"며 "시민단체의 리스트를 참조는 하겠지만 설득력을 발휘할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