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후 탄핵무효 범국민행동이 대규모 촛불집회를 중단키로 함에 따라 2주동안 광화문을 밝혀온 대규모 탄핵무효 촛불집회는 막을 내리게 됐다. 범국민행동은 이 날 오후 2주일간 계속돼온 탄핵무효 촛불집회가 연인원 150만명을 동원해 내면서 탄핵무효에 대한 범국민적 의지를 충분히 모아냈다고 판단, 대규모 촛불집회를 중단키로 했다. 이같은 결정은 무엇보다 총선기간과 촛불집회가 맞물리면서 혹시라도 발생할 수있는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고 교통지체 등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그동안 '탄핵반대'라는 목소리를 십분 알린 만큼 인원 동원이나 당국과의 충돌가능성 등의 부담을 덜면서 '탄핵무효 운동 방향'을 일상으로 옮겨가겠다는 계산으로 보인다. 주말인 13,14일과 20일 수십만의 인원이 참여한 집회를 연이어 개최하면서 반복된 같은 형태의 대규모 집회에 주최측이 부담을 느낀 것도 집회 중단결정에 영향을미쳤다. 특히 촛불행사를 둘러싼 법적인 공방에 이어 보수단체와의 마찰,선관위의 탄핵집회 불허방침, 주최측에 대한 검.경의 체포영장 청구 등의 움직임도 범국민행동측을 상당히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집행부는 13, 14일 이후 향후 탄핵무효 촛불집회의 '앞날'에 대해 논의해왔으며지난주 집행위원회에서 이미 27일 이후 대규모 촛불행사를 중단키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범국민행동 김기식 공동집행위원장은 "20일 전국적으로 100만명이 탄핵무효 촛불을 밝힌 것을 정점으로 탄핵무효에 대한 자발적인 시민들의 의지가 충분히 드러났다고 확신한다"면서 "탄핵무효운동을 일상속으로 확산시키는 천만인 서명운동으로전환, 무게중심을 옮겨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대규모로 대중운동을 전개해 나감에 있어 어느순간 일정하게흐름을 조절하지 않으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시민들도, 주최측도 부담을 안고갈 수밖에 없다"라며 "반복된 같은 형태의 집회에 다소 지친 시민들과 네티즌들의 요구를수용, 촛불행사를 부드럽게 마무리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대규모 촛불행사는 중단되지만 범국민행동은 향후 탄핵무효의 상징이 되는 2m높이의 촛불탑을 만들어 명동성당 들머리에 설치하면서 광화문에서 명동성당으로 시민들의 자발적인 촛불행사를 이어간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하지만 이는 아직 명동성당측과 협의를 거치지 않은 사항이라 실제 명동성당 들머리가 광화문에 이어 제2의 탄핵무효 촛불시민광장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지는아직 미지수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