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내에서 논란을 빚어온 탄핵 철회론이 수그러들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박근혜(朴槿惠) 대표체제가 들어서면서 생긴 변화다. 우선 박 대표부터 탄핵 고수 입장이 완강하고, 당 분위기도 이에 호응하는 쪽이다. 박 대표는 24일 "법적으로 올라온 문제는 법적으로 해결을 봐야 하며, 절차에 의해 시작했으니 절차로 끝을 봐야 한다"면서 "헌재 판결을 차분히 기다려 그 결과를 수용하고 승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탄핵을 비난하는 분들 얘기는 도대체 한나라당이 뭘 잘했다고 탄핵하느냐는 것"이라며 "그러나 (노무현 정부에 대해) 아무런 견제없이 4년을 간다면 나라가 어떻게 되겠는가. 야당도 필요하다는 점을 호소하려 한다"고 정면돌파론을 내세웠다. 박 대표는 전날 당 대표로 선출된 뒤 전면적인 당쇄신과 정책정당화 등을 통해 탄핵 역풍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수차례 내비쳤었다. 그의 이같은 입장은 이제와서 탄핵안을 철회할 경우 당이 오락가락한다는 비난여론과 함께 고정 지지층인 보수성향 유권자들마저 이탈하는 자충수가 될 가능성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측근은 "탄핵을 철회하는 것은 법원칙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못박았다. 이에 대해 탄핵 철회론의 진앙지로 지목돼온 소장파들과 김문수(金文洙) 의원 등도 탄핵 논란을 일단 접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탄핵 철회론에 대한 당내 심판은 어제 전당대회에서 내려진 것"이라며 "대표 경선에 출마한 사람으로서 탄핵 문제를 놓고 계속 떠드는 것은 당권을 쥔사람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고 한발 물러섰다. 미래연대의 한 핵심 인사도 "소장파들이 대국민 사과를 하자고 한 것은 한나라당에 대한 유권자들의 거부감을 희석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었다"며 "박 대표가 다양한 개혁 프로그램을 내놓고 국민에게 다가서겠다고 한 만큼 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h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