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자막 가운데 평균 11.09%, 정부 홈페이지게시물의 10%, 방송 언어의 4.55%, 잡지 기고문 4.52%, 신문 기사 4.15%에서 오류가발견됐다. 국립국어연구원(원장 남기심)이 22일 발간한 「어문 규범 순수 실태 조사 Ⅳ」에 따르면 정부 기관 홈페이지와 신문.방송.잡지 등의 국어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연구원에 따르면 조사는 지난해 4월-9월 청와대.건교부.외교부 등 19개 정부 기관 홈페이지와 방송 3사의 12개 연예.오락.시사 프로그램, 25종의 잡지와 6개의 국내 일간지 등에서 수집한 총 36만8천459어절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맞춤법 등 어문 규정과 어휘 사용, 문법 및 문장의 오류를 분석한 결과 총 8천939건의 오류가 드러났다. 4분야를 통틀어 가장 많이 확인된 오류는 뛰어쓰기로서, 전체의 절반을 넘는 54.3%가 뛰어쓰기 오류였다. 특히 ▲여성정책->여성 정책 ▲추진계획->추진 계획 ▲선정도서->선정 도서 등과 같이 명사와 명사를 붙여 쓴 오류가 많았으며, ▲3억원->3억 원 ▲두개->두 개처럼 의존 명사인 '원''개' 등을 붙여 쓰거나 이름 뒤에 호칭이나 직위를 나타내는말을 붙여 쓴 경우도 빈번했다. 분야별로는 정부 홈페이지에서는 ▲최종년도->최종 연도 ▲당해년도->당해 연도▲회계년도->회계 연도 등 '연/년(年)'의 표기 오류가 많았으며, 방송자막에서는 ▲가운뎃줄->가운데 줄 ▲담배갑->담뱃갑 ▲머리 속->머릿속 ▲붓기->부기 등 사이시옷 표기 오류가 눈에 띠었다. 연구원은 잡지에서는 ▲자살율->자살률 ▲이용율->이용률 ▲성장율->성장률 등'율/률'을 잘못 쓴 경우가 많았으며, 신문은 다른 조사 대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기 오류가 적었다고 밝혔다. 또한 방송 언어의 경우 고질적으로 지적된 비속어와 외래어.외국어의 남용이 여전히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원은 조사 결과 "일반적인 글쓰기보다 오류가 적은 편이지만 공공 매체가갖는 공신력과 공공성을 고려해 볼 때 여전히 문제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kyung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