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을 노리는 미국 공화당의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 광고를 시작하자 부시의 재선을 반대하는 민주당 계열의 3개 정치단체들이 맞불작전으로 TV광고를 제작, 연발 대선에서 박빙의승부가 예상되는 17개주에서 일제히 방영에 들어갔다.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10일부터 시작된 광고 선거운동은 "부시의 최우선 과제는 아메리칸 드림을 좀먹게 하는 것"이라고 비난하는 등 부시에 대한 신랄한 공격을 기조로 하고 있다. 이번 TV광고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집권시절 백악관 비서실차장을 지낸 해럴드M. 아이크스가 주도하는 `미디어펀드'가 집행한 것으로, 이 단체는 부시 진영이 1천100만달러를 들여 민주당의 대선후보인 존 케리 상원의원을 집중 공격하는 광고를방영하기 시작한 지 불과 수일 만에 맞불광고를 쏟아냈다. `미디어펀드'는 ACT로 알려진 `아메리카 커밍투게더(America Coming Together)'와 함께 7천만달러의 자금을 모금했으며, 이미 부시 비난광고를 시작한 `무브온' 등과 함께 대선 승부의 분수령이 될 17개주에서 집중적인 광고 공세를 펴고 있다. 이들은 TV광고를 통해 주로 실업문제와 천문학적인 재정적자, 건강보험 정책 등의 이슈로 부시 대통령을 공략하고 있다. 이에 앞서 부시 진영은 민주당의 케리 의원에 비해 10배나 많은 선거운동 자금을 확보한 상태에서 지난주부터 케리 후보를 겨냥, 안보문제에 있어서 애매모호한인물이라고 집중적인 비난공세를 펴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주당으로서는 부시의 재선을 저지하려는 외곽 정치단체들이부시를 공격하는 광고를 시작한 데 대해 적극 반기는 분위기다. 그러나 공화당진영에서는 이들 단체가 부시 재선을 막기 위해 막대한 광고비를쏟아내는 것이 선거운동자금 관련법을 위반한 것이며 이들의 전략이 불법적으로 케리 의원을 지지하는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급기야 부시 대통령의 선거대책본부 소속 변호사들은 9일 밤 연방선거관리위원회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이들 변호사는 소장에서 이번 정치광고들 가운데 일부가 사실상 부시에 대한 반대입장을 밝힌 데다 무제한적인 `소프트머니' 기부금으로 광고비용이 충당됐다는 점을 들어 불법이라고 주장하면서 `미디어펀드'에 대한 수사를 촉구했다. 민주당 진영도 이 정치단체들의 운동 양상에 대해 문제점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케리 의원의 한 보좌관은 "문제는 있지만 우리로서도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다"면서 자신들이 이를 통제할 입장이 아니라는 태도다. `미디어펀드'의 아이크스도 공화당의 비난이 근거없는 것이라고 반박하면서 "우리는 공화당의 정책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만 이슈를 제기할 뿐" 이라고강조하고 "이것이 부시 또는 케리 후보의 선거운동에 어떤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겠지만 누구를 당선시키거나 낙선시키는데 관여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지난해에도 이들 단체의 운동방식의 적법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빚어져 공화당의원들이 연방선관위에 조사를 의뢰했으나 선관위는 최종판정을 올해 하반기로 미뤄놓은 상태다. 공화당 진영은 이에 굴하지 않고 케리 의원의 선거대책위원회와 이들 단체의 불법적인 협조를 밀착 감시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문제의 정치단체 관계자들은 자신들이 케리 의원 선대위측과는 일정거리를 두고 있으며 케리 진영과 결코 협력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 공화당측의 약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 가을 케리 의원의 선대위 본부장에서 경질된 짐 조던은 현재 미디어펀드에 자문역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그는 "미디어펀드에 속한 모든 사람들은 정당 위원회나 선거대책위와 협력을 금지한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도는 약간 덜하지만 부시 대통령 역시 보수주의 정치단체 등 외곽세력으로부터 도움을 얻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단체가 바로 `시민연합(Citizens United)'과 `성장 클럽(Club for Growth)'이다. `시민연합'은 1996년 빌 클린턴 대통령의 선거자금 모금 상황을 조사했던 공화당 의회보좌관 출신의 데이비드 N. 보시가 주도하고 있는 단체로 이번 주부터 정치광고를 시작했다. `성장 클럽' 역시 곧 케리 후보에 대한 비판적 내용의 광고를 시작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