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핵 6자회담 참가국들은 '북핵폐기 전제,동결시 에너지 지원'을 담은 공동발표문을 이르면 28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개국 대표단은 회담 사흘째인 27일 '북핵 동결 및 대북 안전보장 용의 표명'이라는 문구를 놓고 막판 조율을 시도했다. '핵'의 범위에 대해 북·미 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으나 여러가지 표현을 놓고 협상을 계속했다. 미국은 북한의 모든 핵에 대해 CVID(완전하고,검증가능하고,되돌이킬 수 없는) 방식으로 폐기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데 반해 북한은 '핵'이 아니라 '핵무기'개발계획만 폐기하고 평화적 핵활동은 유지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북·미는 양측의 이런 입장을 반영할 표현을 집중 논의,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거부감을 보이는 'Complete(완전한)'대신 'Comprehensive(포괄적)'란 표현을 써서 핵폐기 용의를 표명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 안에 대한 수용여부를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북핵 해법 1단계인 '핵동결과 대북 안전보장 용의 표명'이 합의되지 않더라도 2단계 첫 조치인 '핵동결 때 대북 에너지 지원'에 대해 의견 접근이 된다면 이를 먼저 공동발표문에 담자는 절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회담에서 한·중·러는 북한의 핵폐기를 전제로 한 핵동결시 에너지 지원을 하겠다는 용의를 표명했으며 미국과 일본이 이해와 지지를 표시한 상태다. 공동발표문에 실무회의(워킹그룹)를 신설하는 안도 의견 접근이 이뤄진 상태다. 고농축우라늄(HEU) 핵프로그램처럼 검증이 어려운 전문성있는 사안을 다룰 필요가 있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다. 참가국들은 6자회담 정례화에도 큰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화의 틀 속에서 북핵 해법을 도출하자는 데 의견일치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이 제시한 '북핵폐기 전제 동결시 에너지 지원''실무회의 신설''회담 정례화'등을 담은 공동발표문이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권순철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