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국 대표단이 핵심쟁점에 대한 절충을 시도하면서 동시에 공동발표문 조율에도 본격 착수함에 따라 2차 6자회담 회담이 막바지 고비에 이르고 있다. 각국 대표단은 현재 공동발표문에 들어갈 수 있는 '용의 표명' 선언과 '핵동결대 상응조치' 합의, 6자회담 정례화, 워킹그룹(실무)회의 신설 등 제반 요소들에 대해 전반적인 조율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미국이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고, 되돌이킬 수 없는 핵폐기) 방식을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데 반해 북한은 고농축우라늄(HEU) 핵프로그램의 존재를 부인하면서 핵무기개발계획만 폐기하고 평화적 핵활동은 유지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이 때문에 핵폐기에 대한 개념조차 설정하지 못하고 있어 과연 1단계인 '용의표명' 선언을 공동발표문에 넣을 수 있을 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 단계별 순서에 얽매이지 않고 사안별로 합의된 것이 있다면우선 이들을 종합해 공동발표문에 포함시켜 채택하자는 절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시 말해 1단계인 '핵폐기와 대북안전보장 용의 표명'이 합의되지 않더라도 2단계 첫 조치인 '핵동결 때 대북 에너지 지원'에 대해 의견이 접근된다면 이를 먼저공동발표문에 담자는 것이다. 각국 대표단은 또 이견이 노출된 부분에 대해서도 북.미 양측의 원칙을 포괄할수 있는 표현을 사용, 공동발표문에 담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예를 들어 핵폐기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북.미 양측의 이견이 조정되지 않으면'Complete(완전한)' 대신 'Comprehensive(핵폐기)'란 표현을 써서 핵폐기 용의 표명을 하는 방안이다. HEU 문제는 워킹그룹회의에서 논의하는 방향으로 타협이 이뤄질 수도 있다. 이같은 중재안들에 대해 미국이 소극적인 입장을 보일 가능성이 커 실제 합의를이끌어낼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이 2차회담이 1차회담에 비해 "유망한(promising)태도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히고 있고 북한도 이날 미국의 강경자세를 비난하면서도 "회담에 진지하게 임하겠다"고 강조한 만큼 내용과는 상관 없이 공동발표문이 채택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본질적인 내용이 합의되지 않더라도 공동발표문에는 3차 회담 일정, 회담 2개월 주기 정례화, 워킹그룹(실무)회의 신설과 함께 '회담의 유용성을 확인했다'는 식의 긍정적 표현이 담겨질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연합뉴스) 특별취재팀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