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27일 본회의를 열어 지역구수를 15석 늘리고 비례대표 의원수는 현행 46명으로 동결, 전체 의원정수를 288명으로 증원하는 방안과, 지역구수와 비례대표수를 현행대로 해 273명을 유지하는 안을 표결로 처리한다. 한나라당 홍사덕(洪思德) 총무와 민주당 유용태(劉容泰), 열린우리당 김근태(金槿泰) 원내대표는 26일 박관용(朴寬用) 국회의장 주재로 회담을 갖고 의원정수에 대한 막판 조율작업을 벌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해 결국 야당의 증원안과 열린우리당의 현행유지안을 동시에 상정키로 했다고 각당 총무 및 원내대표가 밝혔다. 현재 한나라당(146석)과 민주당(62석)의 의석이 208석으로 재적 3분2를 넘는 압도적인 다수여서 단순히 의석분포로만 볼 때는 한.민 두 당이 주장한 대로 의원정수는 288명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최병렬(崔秉烈) 대표를 비롯해 한나라당 일부에서 의원정수 증원에 반대,전체 의원정수는 현행대로 273명을 유지하되 지역구수 증가는 한자릿수 이내로 최소화하되 늘어나는 지역구의원수 만큼 비례대표 의원수를 줄일 것을 주장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한나라당의 기존 당론은 선거구 인구상하한선 10만5천~31만5천명안을 적용, 지역구수를 9개 늘려 236개로 하고 비례대표수를 37명으로 줄이자는 것이다. 여야는 또 국회 정개특위 활동시한을 연장, 27일 통과되는 선거구획정 기준을선거구획정위원회로 이관해 선거구획정작업을 끝낸 뒤 이번 국회 마지막날인 내달 2일 본회의를 다시 열어 선거구획정안이 포함된 선거법 개정안을 처리키로 했다. 이날 회담에서 야당 총무나 원내대표들은 인구하한선 10만5천명을 기준으로 지역구를 조정, 15석을 늘리고 비례대표도 11석 늘려 의원정수를 299명으로 증원하자는 주장을 한 반면 열린우리당은 의원정수를 299명으로 증원하되 지역구수와 비례대표수를 똑같이 13개씩 늘려야 한다고 맞서 합의도출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홍 총무는 회담후 "지역구수와 비례대표수를 똑같이 늘려야 한다는 열린우리당 주장의 논거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고, 열린우리당 김 대표도"의원정수를 늘리는 것은 국민정서에 부합하지 않지만 여야간 원만한 합의를 위해지역구수를 13명까지 늘릴 수 있다는 양보안을 제시했으나 야당이 무리하게 지역구늘리기에만 매달려 합의가 안됐다"고 반박했다. 한편 국회는 기업의 정치자금 후원 전면 금지 및 고액기부자 명단 공개 등을 골자로 한 정치자금법과 지구당 폐지 등을 주요내용을 한 정당법 개정안도 내달 2일선거법 개정안과 함께 처리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민영규 강영두기자 youngkyu@yna.co.kr k027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