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윤영관(尹永寬) 전 장관의 후임으로 새 외교통상장관에 누구를 선택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외교부 직원의 `대통령및 외교정책 폄하' 발언을 `대통령에 대한 항명' 사태로 규정, 윤 장관을 전격 경질한 이후 국내는 물론 한미간에 불협화음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민감한 시점인 탓이다. 특히 노 대통령이 `자주외교'를 강조한 만큼 누가 외교부 수장으로 오느냐에 따라 향후 대미관계는 물론 우리 외교 전반에 변화가 초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 외교장관 인선 기준으로는 무엇보다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외교철학을 잘 이해해야 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실제로 정찬용(鄭燦龍) 청와대 인사수석도 1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차기장관 인선 기준으로 "여러 잣대가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노 대통령의 국정 및 외교철학을 잘 이해하는 분이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는 최영진(崔英鎭) 외교안보연구원장을 비롯, 한덕수(韓悳洙) 산업연구원장, 문정인(文正仁) 연대 교수 등이 꼽힌다. 그러나 이번 윤 외교 경질 사유가 기본적으로 부처장악과 조직통솔력이 부족한데 기인했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부처장악력도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이와 관련, 외교부 주변에서는 정태익(鄭泰翼) 러시아 대사, 김삼훈(金三勳) 유엔 대사, 장재룡(張在龍) 본부 대사 등의 `낙점' 가능성이 있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북핵 2차 6자회담과 용산기지 이전 협상 등 눈앞에 닥친 중요한 대미 외교일정을 감안할 때 결국 미국측에 거부감이 없는 인물이 선택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치 않다. 청와대 반기문(潘基文) 외교보좌관을 비롯, 한승주(韓昇洲) 주미대사, 라종일(羅鍾一) 국가안보보좌관 등이 거명되는 것은 이런 분석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청와대 고위관계자도 "우리 외교의 70-80%가 미국을 상대로 한 것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따라서 미국의 뜻을 일방적으로 추종하고 따르는 `숭미(崇美)주의자'가 돼선 곤란하겠지만 어느 정도의 `친미(親美)'는 이해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물론 이런 기조가 `노심(盧心)'을 정확하게 반영한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노 대통령이 `자주외교'라는 원대한 목표를 갖고 있으면서도 결코 `실용주의' 노선을 포기하지 않는 이른바 `실용주의적 이상주의자'라는 점에서 이런 기준을 중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의 분석이다. 어찌됐건 청와대는 후임 외교장관 인선이 늦춰질 경우 우리 외교전반에 혼선을 줄 수도 있다는 판단아래 가급적 빠른 시일내 후임자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15일 오후 인사추천위에서 거론된 8-9명의 후보들에 대한 최종 검증이 이뤄지는 대로 이르면 16일 오후에라도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는게 청와대 핵심관계자의 설명이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