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최대이자 세계 5위권의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의 역사에 새로운 획을 긋는 항만공사 시대가 16일 드디어 막을 올린다. 국내최초의 부산항만공사(BPA.Busan Port Authority)는 16일 오전 노무현대통령과 장승우 해양수산부장관, 오거돈 부산시장권항대행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구 중앙동 사옥에서 현판 제막식을 갖고 본격 출범한다. 정부가 국가소유인 부산항의 부두시설 등을 출연해 설립한 부산항만공사는 정부투자기관이면서도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며 인사와 재정에 관한 독립성이 보장돼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기존에 부산해양수산청과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이 맡고 있던 부산항 부두시설 및 장비의 임대 및 항만물류정보망(PORT-MIS)운영 및 관리, 항만시설사용료 결정 및 징수, 항만 마케팅 등의 업무를 넘겨받아 수행하는 한편 자체 항만개발과 항만마케팅, 항만종사자교육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항만기본시설 건설과 안전관리.해양환경 관리 등의 업무는 부산해양청이 그대로맡으며 현재 컨테이너부두공단이 건설중인 부산신항 4개 선석은 당분간 `컨'공단이개발하되 추후 협의를 거쳐 항만공사가 넘겨받게 된다. 부산항의 국유재산은 부두시설과 토지,건물 등을 합쳐 총 3조5천778억여원으로정부는 우선 이 중 신선대.감만.신감만.우암 등 4개 컨테이너 전용부두의 토지 2조2천159억여원을 항만공사에 현물 출자했다. 나머지 재산은 일단 항만공사에 무상대부한 뒤 연말까지 출자 타당성 및 공부정리를 거쳐 출자할 예정이다. 부산항만공사는 부두 임대료 및 접안료, 화물입출항료 등을 수입으로 운영되며해양부는 재정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하반기에 부산항만공사가 수역.외곽시설등을 관리하고 선박입.출항료, 정박료 등도 징수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부산시도 부산항만공사의 조속한 재정자립을 위해 향후 3년간 취득세와 등록세등 지방세(184억9천300만원)와 국세인 농어촌특별세(191억9천300만원)를 전액 면제해 주기로 했다. 부산항만공사는 2008년 재정자립을 이룰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항만은 해방이후 90년대 초까지 부족한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민간부문의 미발달로 인해 국가가 직접 건설하고 운영하는 `국유국영'체제를 유지해 왔다. 이후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이 컨테이너부두를 국가로부터 무상임대해 민간회사에 빌려주고 그 수입으로 부두를 건설하는 `국유민영'체제를 거쳐 16일부터는 항만공사가 부두를 소유.관리하고 민간업체가 운영하는 `민유민영'시대를 맞게 됐다. 부산항에 항만공사 시대가 열림으로써 그동안 중앙정부에 의해 획일적으로 규제돼온 사용료 및 임대료를 지역특성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한 화물유치가 가능해 지게 됐다. 또 연간 1천600억원 이상의 자체수입을 바탕으로 채권발행 등 다양한 방법으로재원을 조달할 수 있어 부두시설 및 하역장비의 탄력적인 확충이 가능해지고 항만관련 주요 의사 결정 때 지방자치단체 및 항만이용자의 참여가 보장됨으로써 지방행정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이밖에 전문가의 장기근무로 외국 주요 선주.화주 및 항만간의 인적 네트워크구축을 통한 능동적인 마케팅, 신규 하역장비를 증설하는 등 항만기계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등으로 부산항의 국제경쟁력을 크게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추준석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부산항이 비록 중국의 항만들에 추월당하는 등 위기를 맞고 있기는 하지만 지리적인 이점을 활용하고 획기적인 서비스 개선을 이룬다면 동북아 물류중심항으로 충분히 도약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시설확충과 더불어생산성 향상, 배후단지 개발을 통한 복합물류 기능 제공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lyh9502@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