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고액권을 포함한 새로운 화폐 발행 문제를 오는 4월 총선 뒤 정부와 협의, 가능하면 연내에 시행 여부를 매듭짓기로 했다. 그러나 새로운 화폐를 발행하면 금융회사의 현금출납기기(ATM)를 모두 바꿔야 하는 등 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 부정부패 뇌물관련 등의 단위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만만치 않아 논의 과정에서 많은 진통이 예상된다. 박승 한은 총재는 11일 "화폐를 변화된 경제 상황에 맞게 바꾸고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행 화폐를 바꿀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이 신권 발행 구상과 일정 등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총재는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고액권 발행, 위폐 방지ㆍ도안 혁신, 디노미네이션(화폐단위 절하) 등 세 가지 화폐 선진화 방안을 한꺼번에 추진할지, 아니면 한 가지씩 시행할지,아무것도 하지 말 것인지 등을 연내에 결정할 예정"이라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를 동시에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화폐 선진화 방안이 올해 결정되더라도 준비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신권 교환은 3년 뒤에나 시작될 수 있으며 적어도 5년이 지나야 신ㆍ구권 교환이 완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