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해적정보공유센터의 유치를 두고 우리나라와 싱가포르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2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한국 등 해적방지협력회의 16개 회원국은 최근 동남아 해역에서 빈발하는 해적 사건에 공동 대처하기 위해 해적정보공유센터를 설립키로 했으나 어느 나라에 설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합의를 보지 못했다. 해적방지협력회의에는 우리나라 외에 일본, 중국, 스리랑카, 인도, 방글라데시5개국과 아세안(ASEAN) 10개 회원국이 가입돼 있다. 지금까지 해적정보공유센터 유치 의사를 밝힌 나라는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4개국인데 이 중 우리나라와 싱가포르가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이들 4개국은 국제 관례에 따라 만장일치로 센터 유치국을 정하기로 했으나 지난 9월과 지난달 일본 도쿄(東京)에서 열린 두차례 회의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현재는 해적방지협력회의 의장국 일본이 제시한 합의 시한(12월 12일)도 넘겨표결로 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일본은 연내 선정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싱가포르는 16개 회원국 가운데 7개국, 우리나라는 7-8개국의 지지를 각각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어느 쪽도 결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최고의 정보기술(IT) 강국으로 해적정보공유센터에 필수적인 첨단네트워크 구축에 유리하다는 점을, 싱가포르는 국제기구 유치 경험과 지리적 장점을 각각 내세우고 있다. 현재 국내 소재 국제기구는 국제백신연구소(IVI)가 유일하나 이는 민간 연구기관의 성격이 강해, 해적센터 유치에 성공하면 실질적인 의미에서 최초의 국제기구유치라는 평가다. 해양부 관계자는 "다양한 외교경로를 통해 유치에 성공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유치를 확신할 수는 없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상황이 우리 쪽에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기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