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15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결심한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사퇴시한(17일)이 임박한 가운데 각 정당은 이들에 대한 공천 문제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자치단체장들이 지역여론의 동향을 누구보다 잘 파악하고 있고, 그동안 행정력을 나름대로 검증받았기 때문에 당선가능성이 출마를 희망하는 해당 지역구의 현역의원에 결코 낮지는 않지만 무작정 `낙하산 공천'을 하기에는 적지않은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자치단체장들은 행정공백에 대한 주민들의 비난을 의식한 탓도 있지만, 경선에 대한 부담때문에 사퇴시한이 임박했음에도 총선 출마여부에 관한 최종결심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최병렬(崔秉烈) 대표가 지난 8월 행정공백 등을 이유로 당소속 자치단체장에 대해 아예 공천배제 방침을 정함으로써 입후보 자격마저 봉쇄해버렸다. 이재오(李在五) 사무총장은 5일 비대위.주요당직자 연석회의에서 "불과 1년반정도 지났는데 2년반 가량의 임기를 포기하고 총선에 참여한다는 것은 주민들의 기대에 어긋나는 것이다"고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지도부 내부에서는 공무담임권 침해소지와 당선가능성 등을 고려해 자치단체장들을 공천을 해야한다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경쟁력 있는 단체장들은 `하향식 공천'이라도 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열리우리당은 원칙적으로 국민참여경선방식을 통해 국회의원 후보자를 선출하도록했으나 지역구 총수의 30%내에서 중앙당 공천심사기구의 심사를 거쳐 공천하도록하는 예외규정을 둬 사실상 `하향식 공천'의 길을 열어놨다. 그러나 현직 장.차관은 물론 전직 장.차관과 학계, 법조계 등 다양한 계층에 대한 영입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자치단체장들에게 할당할 수 있는 `하향식 공천' 자리에 한계가 있다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박양수(朴洋洙) 조직총괄단장은 "민주당 현역의원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호남지역구중 일부는 해당 자치단체장들이 경선을 거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말했다. 민주당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에 비해 자치단체장을 배려할 `여유'가 있다. 분당사태 이후 227개 지구당중 과반수가 사고지구당으로 남아 당선가능성이 있는 자치단체장을 조직책으로 선정, 국회의원 후보 경선에서 `프리미엄'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국회의원 후보 경선방식도 ▲당원과 일반국민이 절반씩 포함된 국민참여경선 ▲당원총수 10%이상이 참여하는 전당원 경선 ▲유권자 대상 여론조사 등 세가지 방식 가운데 한가지를 지구당별로 선택토록해 자치단체장의 부담이 덜할 수 있다고 보고있다. 자민련은 조만간 공천심사위를 통해 가장 경쟁력 있는 인물을 내년 총선에 공천하겠다는 방침이다. 원내 교섭단체 구성이라는 목표를 위해선 현역 지자체장이라 하더라도 경쟁력이있고 출마 의사를 타진해올 경우 적극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자민련 관계자는 "상당수 지역구에 위원장이 비어있는 상황이고, 현역 자치단체장의 경쟁력이 높기 때문에 공천심사에서 우선 배려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승현 고일환 김중배기자 shchon@yna.co.kr koman@yna.co.kr jb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