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방위청은 현재 미국과 공동 연구중인 미사일방어(MD) 체제의 차세대 요격미사일을 수 년내에 실용화한다는 목표를 세우고,미국과 공동생산에 나설 방침이라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4일 보도했다. 일본 방위청의 이같은 방침은 자국 군사 관련 기술의 우위성을 유지,발전시키기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일본의 미사일방어 체제 구축은 2단계로 진행될 전망이다. 우선 일본은 미국이 독자개발한 MD체제를 내년부터 2년간에 걸쳐 약 2천억엔(약2조원)을 주고 사들여, 이지스함 4척 및 항공자위대 대공미사일 부대 1곳에 배치할계획이다. 일본이 도입키로 한 MD 체제는 미국이 내년부터 실전 배치를 목표로 하고 있는것으로, 이지스함에서 발사 가능한 함대공 미사일 `SM3' 및 지대공 미사일인 `패트리어트 3(PAC3)'가 2단계로 연결된 시스템이다. 이어 일본은 미국과 공동생산을 통해 MD체제를 `업 그레이드'할 계획이다. 일본 이 공동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요격미사일은 SM3와 비교해 대응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의 종류와 속도 등이 훨씬 뛰어나, 사실상 SM3의 뒤를 잇는 차세대 요격미사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지난 1999년부터 미국과 함께 해상배치형 요격미사일과 관련해 미국과공동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연구분야는 탄도미사일를 추적할 수 있는 적외선시커(seeker) 등 4개 분야이다. 한편 일본은 미국과 요격미사일의 공동생산에 들어갈 경우, 자신들이 생산한 부품을 미국에 공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현행 `무기수출 3원칙'의 수정이 불가피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아사히는 지적했다. 무기수출 3원칙은 ▲대(對)공산권 수출금지 ▲유엔 결의안에 의한 수출금지 ▲국제 분쟁당사국에 대한 수출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83년 미국측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미국에 한해서는 무기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은 허용했으나, 부품공여는 아직까지도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와 관련, 지난 주 규마 후미오(久間章生) 자민당 간사장 대리는 "일개 국가가최신 기술을 갖춘 무기를 개발하는 것은 기술이나 자금면에서 점점 불가능해 지고있다"며 무기수출 3원칙의 개정 필요성을 주장했다. (도쿄=연합뉴스) 고승일 특파원 ksi@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