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이 `국민기업화'라는 묘수를 찾아 그동안일방적으로 밀리던 분위기를 단숨에 역전함에 따라 이 아이디어가 누구에게서 나왔는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포스코와 한전 등이 민영화 과정에서 국민주 공모를 실시한 적은 있지만 적대적인수.합병(M&A) 위기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이를 활용한 사례는 국내에서 전무했던터라 이를 주도한 `브레인'의 실체에 대해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현대그룹의 1천만주 국민주 발행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현정은 회장측은 우리사주를 포함해 지분 22.98%를 보유, 정상영 금강고려화학(KCC) 명예회장측 지분(15.95%)를 압도하며 상황을 단번에 역전시킬 수 있다. 일단 현대그룹측은 현정은 회장이 국민주 공모를 기획했다고 밝히고 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18일 "정몽헌 회장이 생전에 `기업은 국가와 국민을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면서 "이런 기업 철학에 영향을 받아 현 회장이 아이디어를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영 경험이 전무하다시피 한 현 회장이 지금껏 선례가 없는 `묘수'를혼자 힘으로 찾아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한 증권 애널리스트는 "증권계도 현대그룹이 택한 방법에 적지 않게 놀랐다"면서 "그리 복잡한 내용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기업 재무에 정통한 이가 아니면 쉽게생각할 수 없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현대증권 김지완 사장 등 정몽헌 회장 계열로 분류되는 현대증권 간부들이 국민기업화를 주도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 현대아산의 국민주 공모 사례를 벤치마킹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일부 나오고있다. 현대아산은 인수.합병 위기 타개책은 아니지만 대북사업에 대한 호의적인 분위기를 등에 업고 지난 9월 자사주 일부를 국민주 공모를 통해 일반에 매각했고 현재2차 공모를 준비중이다. 한편 재계 일각에서는 향후 거취가 불투명해진 일부 현대그룹 가신들이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국민기업화를 건의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기자 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