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신사 구조조정] (3) <끝> '빅3' 향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투신사 구조조정의 성공 여부는 과거 투신사에서 증권사로 전환한 한투증권 대투증권 현투증권 등 이른바 투신 '빅3' 처리에 달려 있다.
이들 3사의 부실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선 투자자의 신뢰를 되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투증권은 미국 푸르덴셜그룹으로의 매각이 막바지 단계에 들어갔다.
하지만 한투증권 대투증권의 처리는 아직 불투명하다.
이들 증권사측은 "올 상반기 중 1천억원 이상의 흑자를 내는 등 독자생존 기반을 마련했다"면서 "더 이상 시장을 불안케하는 요인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올 3월 말 기준으로 자기자본이 마이너스 4천억원(대투)과 마이너스 8천억원(한투)에 이르고 단기차입금은 1조3천4백억원(대투)과 1조8천5백억원(한투)에 달하는 재무구조는 취약한 경영여건을 그대로 대변해주고 있다.
특히 올 상반기 대규모 순이익도 상당부분 주가 상승의 덕분이라는 점에서 진정한 생존능력을 입증했다고 평가하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더욱 큰 문제는 한투 대투 양사의 매끄러운 처리가 이른 시일안에 매듭지을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점이다.
△공적자금을 추가투입해야 할지 △한다면 얼마나 해야 하는지 △투입한 공적자금은 어떻게 얼마나 회수해야 할지 등 원칙이 확정되지 않았다.
이들 회사 관계자들은 "지금까지 감독당국이나 예금보험공사 등 그 어떤 곳에서도 정밀한 자산부채 실사를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정확한 부실 규모조차 파악이 안됐다는 얘기다.
공적자금을 더 투입해도 어떤 방식으로 두 회사를 정상화해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지도 검증되기 어렵다.
당국은 우선 두 회사의 합병 뒤 해외매각방안을 거론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여의치 않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당사자격인 두 회사측도 "합병은 시너지가 없는 데다 덩치가 커져 매각이 더 어려워진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자회사인 운용사만 매각하는 방법이나 △일정기간 독자생존 후 개별 매각 등의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안 모두 공자금 회수 규모가 적어지거나 시장에 충격을 주는 등의 단점을 지녔다.
하여튼 전환증권사의 처리방안이 늦어질수록 부실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두 회사가 부실채권 유동화 등을 위해 2000년에 발행한 채권담보부증권(CBO) 후순위채나 고객에게 확정금리를 약속한 신탁형 증권저축상품 등은 시간이 갈수록 추가 부실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신인석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연되고 있는 투신 구조조정은 국내 유가증권 발행시장이나 금융감독 등 측면에서 자본시장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며 "이를 조속히 마무리짓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열 기자 mustaf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