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비교적 좋았던 시기에 무리하게 은행 돈을 빌려 내집 마련에 나섰던 서민들이 부동산담보대출 이자를 갚지 못해 연체자로 전락하는 '생계형부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들의 대출 만기(주로 3년)가 올해 말 또는 내년 초부터 집중적으로 돌아올 예정이어서 서민층 가계의 빚 상환 압박이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16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내 최대 은행인 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택자금)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2.7%, 6월 말 2.8% 등 계속 상승세를 보이다가 급기야 9월 말에는 3%를 넘어섰다. 우리은행은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3월 말 1.44%에서 9월 말 1.7%로 올라섰다. 조흥은행과 외환은행은 상반기엔 1% 미만이었으나 하반기 들어선 1%를 넘어섰다. 주택담보대출 연체가 이처럼 많이 늘어난 것은 연립ㆍ다세대ㆍ단독주택 등을 사기 위해 은행 돈을 빌렸던 서울 변두리와 경기ㆍ인천지역의 저소득층 가구들이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이자를 갚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은행 관계자들은 분석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이들 지역의 일선 영업점에 '부실징후가 있는 주택담보대출 고객들의 동향을 밀착 감시하라'고 지시하는 등 여신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은행들은 이들의 대출 만기가 연말 또는 내년 초부터 일제히 돌아와 가계의 원리금 상환 압박이 커지는데다 정부의 주택대출 규제에 따라 부동산 거품이 급격히 붕괴될 경우 주택대출 부실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고위 관계자는 "은행으로선 담보대출의 평균 손실률(0.5% 수준)이 극히 낮아 큰 문제가 없지만 '생계형 부실'이 늘어나는 것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