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비교적 좋았던 시기에 무리하게 은행 돈을빌려 내집 마련에 나섰던 서민들이 불황 속에서 이자를 갚지 못해 연체되는 `생계형부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들의 대출 만기(주로 3년)가 올 연말 또는 내년 초부터 집중적으로 돌아올 예정이어서 서민층 가계의 빚 상환 압박이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16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내 최대 은행인 국민은행은 주택담보대출(주택자금) 연체율이 지난 3월 말 2.7%, 6월 말 2.8% 등 계속 상승세를 타다가 급기야 9월 말에는3%를 넘어섰다. 우리은행은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3월 말 1.44%에서 9월 말 1.7%로 올라섰다. 조흥은행과 외환은행은 상반기까지만 해도 1% 미만이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하반기 들어 1%를 넘어섰고 나머지 은행들도 구체적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연체율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주택담보대출 연체가 늘어나는 것은 2∼3년 전 서울 변두리와 경기.인천지역의 저소득층 가구들이 앞다퉈 연립.다세대.단독주택 등을 잡히고 은행 돈을 빌렸으나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이자를 갚지 못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라는게 은행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각 은행은 서울 변두리나 경기.인천 지역의 일선 영업점을 통해 부실징후가 있는 주택담보대출 고객들의 동향을 밀착 감시하는 등 사전 여신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은행들은 이들의 대출 만기가 연말 또는 내년 초부터 일제히 돌아와 가계의 원리금 상환 압박이 커지는 데다 정부의 주택대출 규제에 따라 부동산 거품이 급격히붕괴될 경우 주택대출 부실화를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고위 관계자는 "은행으로서는 담보대출의 평균 손실률(0.5% 수준)이극히 낮기 때문에 회수에만 신경쓰면 되지만 `생계형 부실'이 늘어나는 것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고 "내년부터 본격화될 주택대출 만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면 자칫 `가계 신용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