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민주당 탈당이 전격 앞당겨진 것은 윤성식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국회에서 거부된 사실이 직접적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통합신당이 탄생하자 노 대통령의 당적을 놓고 정치권에서 논란을 거듭한 것도 '무당적'선언을 앞당기게 된 요인이 되고 있다. 역대 3명 대통령들의 경우 임기말 '레임 덕' 상황에서 궁여지책으로 탈당한 것과 달리 노 대통령은 취임 7개월여만에 자신을 대통령으로 만들어준 민주당을 떠난 것이어서 상당한 파장이 일 전망이다. ◆예고된 탈당 및 신당 입당 여부=통합신당이 창당 수순에 들어가면서 시점이 문제였을 뿐 노 대통령의 탈당은 예고된 일이었다. 다만 정기국회가 열려 국정감사가 진행중인데다,10월에는 굵직굵직한 정상회담 행사가 2건이나 잡혀 있어 이들 현안을 가닥잡은 뒤 '결행'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노 대통령은 그러나 29일 오전 문희상 비서실장 등 정무분야 최측근들과 상의한뒤 곧바로 탈당을 결행했다. 신당 입당 여부는 정기국회 이후에 결정한다는 게 노 대통령의 생각이다. 일각에서는 노 대통령이 결국 통합신당을 택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현대 민주주의는 정당에 입각한 책임정치'라고 볼 때 노 대통령은 정당을 택하라는 압력을 끝까지 뿌리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에서다. ◆향후 국정운영 어떻게 변하나=무엇보다 각 정당과 행정부 사이에 여야관계가 없어지면서 정부의 업무추진 방식에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행정 부처는 각 정당과 등거리에서 각종 정책 현안 및 업무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해야 할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도 이같은 대국회 설득전의 전면에 서야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특히 여당이 사라진 만큼 주요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회 설득에 현재보다 두배 이상의 공을 들여야 할 처지에 놓였다. 신행정수도 정책의 경우 국회에서 예산배정을 해주지 않으면 한발짝도 앞으로 나가기 힘들고,부동산 안정대책과 경제개혁 등 주요 정책의 경우 국회의 법제화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유인태 정무수석은 이날 노 대통령에게 △당파적 입장을 뛰어넘는 국정책임자로서 대통령 위상 강화 △국회권한 존중,정부·국회간 생산적 관계 정립 △국회의원 개개인의 자율적 의사결정 환경 조성 등 세가지를 향후 정책방향으로 보고했다. 이를 위해 △국회지도자와 자주 만나며 △대국민 직접 호소에 나서고 △각종 이익단체와 관계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