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폭력조직이 낀 대낮 난투극 사건을 축소.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말썽이 일고 있다. 29일 전남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오전 11시 20분께 광주 서구 세화동세동마을 뒷산에서 서울 모 폭력조직 행동대원 6명과 서울 D파 조직폭력배인 모 경비업체 직원 20여명이 흉기와 둔기를 휘두르며 난투극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이 폭력조직 소속 행동대원 한모(25)씨 등 3명이 흉기에 난자를 당해 병원 치료를 받았다. 이날 난투극이 벌어진 곳은 이 경비업체 대표인 최모(50)씨의 모친 장지로 최씨의 부하 유모(38)씨 등 20여명이 문상차 광주를 내려 왔고 김모(44)씨가 이끈 이 폭력조직 소속 행동대원들은 재력이 있는 최씨에게 차후 도움을 받기 위해 장지에 찾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평소 불편한 감정이 있던 이들은 `장지에 왜 왔느냐'는 사소한 말로 시비가 붙어 대낮 유혈 패싸움을 벌였다. 그러나 경찰은 주민 신고로 현장에 출동까지 해 놓고 묘지 이장 문제로 인한 가족들간 싸움으로만 보고 범인들을 초기에 검거하는데 실패했다. 관할인 광주서부경찰서와 시내 경찰서 폭력담당 경찰들이 정보를 입수하고 범인을 검거하려는 과정에서 전남지방경찰청 폭력계가 이 사건을 자신들이 맡을 것이니 일선 경찰서는 손을 떼라고 지시를 내려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건에 대한 모종의 압력이 있었거나 `강력범죄 소탕 100일 계획' 기간임 점을감안, 자신들이 실적을 올리려고 욕심을 낸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실제 일선 경찰서 직원들은 "서에서 사건 처리를 하려니까 지방청 폭력계에서 알아서 할테니 자꾸 손을 떼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또 지방청 폭력계는 주민 신고에 의한 사건을 자신들이 외근활동 중 첩보를 사전에 입수한 뒤 진행한 것이라고 말해 이런 의혹들을 증폭시키고 있다. 더욱이 경찰은 사건의 주범들은 모두 제쳐놓고 뒤늦게 자수한 행동 대원 5명만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져 이들을 수사하는 선에서 이 사건을 일단락시키려 한 것아니냐는 의심까지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지방청 관계자는 "여기저기서 수사를 하면 수사에 방해가 되니까 각 경찰서에 지시를 내린 것이고 어떠한 외부 압력도 없었다"며 "관련자들이 범행 직후속칭 `잠수'를 타 검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해명했다. (광주=연합뉴스) 남현호 기자 hyun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