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하반기 엔화대출을 끌어쓴 중소기업들이 만기가 속속 돌아오면서 비상이 걸렸다. 돈을 빌릴 당시 평균 100엔당 1천원이었던 원.엔 환율이 1천30원으로 치솟았지만 환위험에 관해 아무런 안전장치가 없는 중소기업들로서는 늘어난 상환부담에 울상만 짓고 있다. 23일 은행권에 따르면 최근 원.엔 환율이 상승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이달 들어 엔화대출 만기(1년)가 집중적으로 돌아오면서 작년 엔화대출을 받은 중소기업들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커지고 있다. 작년 차입당시와 현시점의 원.엔 환율 변동폭을 감안하면 금리가 약 3% 오른 셈이어서 그렇찮아도 경기침체로 자금난을 맞고 있는 중소기업들로서는 `업친데 덥친격'이라는게 은행 자금담당자들의 설명이다. 기업은행의 경우 작년 9월22일 일본 수출입은행으로부터 빌렸던 26억엔의 만기가 지난 22일 돌아왔으나 환율변동을 방관하고 있던 중소기업들은 상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는 후문이다. 다른 시중은행들도 엔화대출 만기가 이달부터 다음달까지 집중적으로 돌아오고 있으나 주요 엔화차입자인 중소기업이나 개인사업자(소호)들이 `환 헤지'를 하지 않아 손실이 작지않을 것으로 은행관계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리 통화전환 옵션부 대출을 받아둔 일부 중소기업들은 속속 엔화대출을 원화대출로 전환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작년 9월부터 254건(3천840억원 가량)의 통화전환 옵션부 대출을 받은 수출입은행의 경우 이달 들어 7건(202억원)에 대해 옵션이 행사됐다. 은행 관계자는 "환위험에 관한 아무런 대비책 없이 저리(低利)라는 이점만으로 엔화자금을 빌려썼던 중소기업들로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며 "중소기업들도 통화옵션부 대출이나 선물환 거래를 이용하는 등 환 위험을 회피하는데 적극적인 주의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