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 진 의원은 23일 "정보통신부는 지난95년부터 휴대전화 비화(秘話)기 장치 개발에 착수했으며 작년 8월 비화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의 정통부에 대한 국정감사를 통해 "정통부는 2002년 11월 국가 지도무선망 단말기를 보안모듈을 부착할 수 있는 모델로 교체할 것을 국방부에 통보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의원은 또 "정통부와 군이 수년간 비화장비를 개발해 보안이 시급한 국가지도무선망에 한해 보안모듈을 부착하려 했다는 것은 그동안 논란이 돼온 휴대전화(CDMA)의 도청이 사실상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어 "당시 국정원이 승인을 연기했다"고 소개하고 그러나 "현재도 음성 이외에 데이터까지 비화할 수 있는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면서 "최근 전직기무사 고위간부가 `휴대전화간 통화내용을 감청할 수 있는 장비가 있다'고 말한 점을 고려할 때 군정보기관은 이미 휴대전화 도청을 사실상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와 함께 "지난 2001년 정보당국은 휴대폰 도청장비를 긴급 입수해 정통부에 시험의뢰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러한 사실이 있느냐"고 물었다.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rhe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