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나이트클럽 소유주 이원호(50.구속)씨가 지난해 민주당 충북도지부 간부를 통해 민주당에 대선 자금을 전달한 첩보를 김도훈(37)전 검사가 입수, 수사 중이었다는 사실이 김 전 검사의 수사일지에 의해 밝혀진 것과 관련 민주당 관계자들은 "전달 경로로 봐서 대선자금으로 볼 수 없다"고 대선 관련성을 적극 부인했다. 민주당 관계자들은 "김 전 검사의 수사일지에 기록됐다는 이씨의 돈 전달 경로로에 있는 인물들이 노무현 대통령의 경선이나 대선에 관여했던 인물들이 아니다"며"설령 이씨 자금이 유입됐다 하더라도 구명 로비를 위한 개인적인 정치자금이었지대선 자금은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이씨가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이나 대선 과정에서 모종의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데 대해서는 민주당 관계자들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다. 노 대통령의 절친한 고교 친구로 청주C대 최고경영자과정 동문인 기업가 J씨와10여년 전부터 교분을 다져왔던 이씨가 어떤 형태로든 대선 과정에서 도움을 줬을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자금 지원도 있지 않았겠느냐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그러나 당시 노무현 후보의 충북 특보였던 오원배씨는 "국민 경선단을 모집해오는 정도였지 자금을 제공한 적은 없었다"고 부인했다. 민주당 관계자들은 설령 이씨가 민주당 인사에게 돈을 전달했다 하더라도 사적인 정치자금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수사 일지에 최종 자금 수령자로 기록돼 있는 H씨가 노 대통령과 `코드'가 다르다는 점을 그 이유로 꼽는다. 동교동계로 분류되는 H씨는 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노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았고대선 과정에서도 철저히 관망하는 자세를 보였다. H씨에게 돈이 건너갔다 하더라도 당 대선자금으로 들어왔을리 없다는 얘기이다. 중간에서 돈 심부름을 했다는 민주당 충북도지부 간부 김씨 역시 민주당 경선이나 대선 과정에서 별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 정설이다. 김씨는 경선 과정에서 노 대통령이 아닌 K후보를 지지했고 대선 지원에 나선 시점도 선거 막바지 노 대통령과 정몽준 의원간 후보 단일화 가능성이 높아졌던 때였다. 대선을 5일 가량 남겨두고 대선 판이 노 대통령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전개되자모 종교단체 전국 연합회장이라는 직함을 내세워 `후보 특보' 자리를 차지했지만 적극적인 역할보다는 `보험 가입' 성격이 강했다는 것이 민주당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다시 말해 이씨의 돈이 정치권으로 흘러 들었다 하더라도 대선자금과 연관지어서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민주당측 주장이다. 이와 관련 몰카 사건이 터진 직후인 이달 초께 민주당 중앙당쪽에서 "이씨의 수중에서 5억원이 흘러나왔으나 중간에 배달사고가 났다는 얘기가 있다"는 말이 흘러나왔던 것으로 앍려져 진위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주=연합뉴스) 박종국 기자 pj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