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으로 국가기간 물류망이 마비돼 피해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노사간 협상전망마저 불투명해 이번 '화물대란'사태가 장기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화물연대는 24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25일중 일반화물, 특수화물(BCT), 컨테이너분야에 대한 교섭재개와 정부와의 노정협상을 요구했으나 정부와 운송사는 화물연대의 `선복귀'를 요구하며 이같은 요구를 사실상 거부하면서 향후 상황이 노사, 노정간 강경대처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다. ◆운송사.정부 강경선회 = 컨테이너 운송업체들이 지난 23일 소속 화물연대 및 비화물연대 화물차에 대한 위.수탁 계약해지를 통보한데 이어 시멘트업계도 같은 날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거부와 관련해 25일 오전 8시까지 업무에 복귀하지 않으면 운송계약을 해지하고 민.형사상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정부는 지난 23일 고 건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모든 노력을 기울여 이번 사태를 조기에 해결하되, 화물연대 지도부에 대해서는 경찰출석요구, 구속영장 청구 등 사법처리 절차를 밟기로 했다. 운송사와 정부의 이같은 `강경대응' 선회는 화물연대 측의 무리한 요구에 대해 일방적으로 끌려가지는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특히 정부는 지난 5월 화물연대 파업으로 심각한 이미지 타격을 받은데 이어 불과 석달여 만에 같은 사태가 재발된 만큼 이번에는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법과 원칙에 따라 원칙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번에도 사태의 조기 해결을 위해 화물연대의 무리한 요구들을 수용하게 되면 제3, 제4의 화물파업이 계속될 것"이라면서 "이렇게 되면 말 그대로 통제불능의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협상전망 불투명, 장기화 우려 = 화물연대는 24일 브리핑을 통해 오는 25일중 일반화물, 특수화물(BCT), 컨테이너분야에 대한 교섭재개를 제의했다. 또 정부에 대해서도 노.정협의를 요구했다. 그러나 정부와 운송사는 이에 대해 화물연대가 파업을 풀고 업무에 우선 복귀하지 않을 경우 `대화는 없다'라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정부는 이번 사태의 핵심은 운송료 협상이기 때문에 노정협상은 수용할 수 없으며 운송료 협상부분은 운송사들이 판단할 문제라며 원칙대응 방침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결국 화물연대의 노사, 노정협상 제의로 사태가 해결국면으로 가닥을 잡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됐으나 운송사와 정부가 원칙대응을 고수하고 나서면서 이번 사태는 장기화로 가닥을 잡는 분위기다. 또 사태해결을 위한 양측의 대화전망마저 불투명한 상황. 한편 화물연대 파업사태 장기화에 따른 물류피해 확산 등으로 국가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고 사태장기화에 따른 비난여론도 조성되고 있기 때문에 노사협상의 경우 어떤 형태로든 재개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류성무기자 tjdan@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