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부와 보건복지부가 담뱃값 인상을 놓고 설전을 벌이고 있다. 복지부가 13일 재경부의 담뱃값 인상 반대 논리를 정면 반박하는 등 신경전이 치열해지고 있는 것이다. 재경부는 12일 우리나라의 담뱃값이 한갑당 평균 1.47달러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인당 국민소득(GNI) 수준 등을 대입할 경우 1.23달러가 적정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단순 수치로만 보면 OECD의 담뱃값이 우리보다 비싸지만 국민소득을 감안한 `진짜' 담배가격은 우리 나라가 높은데 복지부가 담뱃값의 단순수치만 비교하고 있다는게 재경부의 주장이다. 재경부는 또 선진국의 사례를 수집해 담뱃값과 흡연율의 관계를 비교했으나 전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담뱃값을 올려 흡연율을 낮추겠다는복지부의 복안은 현실과는 동떨어진 구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13일 각국의 담뱃값을 비교 분석한 자료를 내고 우리 담뱃값을 1로 할 때 영국(2.71), 캐나다(2.32), 호주(1.71), 핀란드(1.50), 프랑스(1.47), 미국 뉴욕(1.31).매사추세츠(1.15).캘리포니아(0.99) 등 대부분의 국가가 우리보다 담뱃값이 비싸다고 반박했다. 또 담뱃값을 1천원 올릴 경우 성인남자의 흡연율이 60.5%에서 51.4%로, 남자 고등학생은 23.6%에서 14.3%로 하락하는 등 `금연 바람'이 불 것이라고 자신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재경부가 신빙성이 떨어지거나 유리한 자료만 인용하는 것 같다"면서 "담뱃값이 인상될 경우 조성되는 재원을 겨냥한 외곽 압박 전략의 일환으로풀이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h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