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가 21세기 방송.통신융합현상에 대비, 정책조율을 본격화하고 나서 향후 움직임에 방송계의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두 기관이 앞으로 방송과 통신의 융합서비스 정책에 대한 협력이 불가피하다는인식에 따라 13일 `방송ㆍ통신분야 정책협의회' 첫 회의를 열고 실무논의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날 회의에서 두 기관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사업 등 신규서비스 도입 시기를 중점 협의했으나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첫 회의를 시작으로 방송위와 정통부는 △방송ㆍ통신 융합서비스 활성화방안 △관련산업 육성책 △법ㆍ제도 정비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해 향후 협의회를 정례화한다. 노성대 방송위원장과 진대제 정통부 장관이 지난 7월 21일 회동해 두 기관의 정책협의가 절실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한 결과다. 이에따라 두 기관은 두 달에 한 번씩 정례회의를 열되, 협의사안이 생기면 수시로 회의를 소집키로 했다. 이에 대해 방송계는 당장 방송.통신의 융합시대에 걸맞은 중ㆍ장기 방송정책의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방송전문가들은 중ㆍ장기적으로 방송 규제기구 분산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려면 방송과 통신부문의 통합규제기구인 `방송통신위원회'(가칭)의 설치가 무엇보다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정작 `방송통신위원회' 설치 문제는 정부 직제개편과 맞물릴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합의점을 도출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한 방송 관계자는 "두 기관의 기능통합 등이 뒤따르는 `방송통신위원회' 설치는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다"면서 "그러나 방송위와 정통부가 정책협의회를 본격 가동함으로써 협의 창구를 두게 됐다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방송위 산하 방송정책기획위원회는 2001년 `방송통신위원회' 설치를내용으로 하는 `방송통신법'이나 `방송통신위원회법'의 제정필요성을 제안한 `방송정책기획위원회 종합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명조 기자 mingjoe@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