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이달 말 열릴 것으로 보이는 남북한.미.중.일.러의 북핵 6자회담 첫 회의에서 북한은 핵 프로그램 포기의사를, 나머지 국가들은 대북 불가침을 구두로 선언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한.미.일 3국은 내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릴 차관보급 북핵정책협의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대북공동제안 1단계 조치를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3일 "6자회담은 첫 회의에서 기본적인 진전이 있지 않으면 다음회의가 열리기 쉽지 않다"며 "첫 회의에서는 우선적으로 북한의 핵폐기와 대북 불가침을 구두선언하는 데 초점을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관련,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전날 제2차 참여정부 국정토론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6자회담에서) 일단 만나면 북한과 미국이 각각 핵폐기와 안전보장 의사를 표명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북한의 구두선언의 내용은 '미국이 대북적대 정책을 철회하고 관련 조치들을 이행한다면 우리는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겠다'는 내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미국은 구두선언 때 지난 2월 20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도라산역 방문에서 밝힌 것처럼 "미국은 북한에 대해 전쟁을 일으킬(invading) 의도가 없고 한국도 북한을 공격(attacking)할 의사가 전혀 없다"는 수준에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6자회담 첫 회의에서 구두선언이 실현되면 두번째 회의부터는 북핵동결 및사찰, 대북중유 및 식량지원 재개, 북-미, 북-일 수교교섭 재개 등 각종 신뢰구축조치들과 함께 회담참여 5개국이 북한의 체제보장에 대한 공동성명을 채택하는 방안이 검토될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 때 체제보장 공동성명은 커트 웰던 미의원 등이내놓은 시한부가 아닌 장기적인 성격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