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로명(孔魯明) 2010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장은 9일 김운용(金雲龍)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의 동계올림픽 `평창유치실패 책임' 논란과 관련, "김 부위원장이 `부위원장 출마는 적극적이고 2010년 평창유치는 부탁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많이 들어왔다"고 말했다. 공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평창동계올림픽유치특위 전체회의에 출석, "김운용위원이 유치활동에 소극적이었다는 예는 여러가지가 있다"면서 "유럽의 한 IOC 위원으로부터 '김 위원이 평창은 아직 준비가 안돼 2014년에 가자고 말하고 돌아다닌다'는 말을 들었고, 또다른 원로 위원은 `김 위원에게 (유치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라는)말을 했는데 내 말을 무시하더라'는 말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유치위 활동 내내 평창이 2014년을 겨냥한 것이라는 얘기와 김 위원장의 부위원장 출마설에 시달렸다"면서 "이른바 `재수.삼수론'이 전력투구의 예봉을꺾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유치위 집행위원장인 김진선 강원지사도 김 부위원장이 `평창은 안되면 2014년에 하면 된다'는 얘기를 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전해들은 적이 있다고주장했다. 김 지사는 또 `김 위원이 3명의 IOC위원에게 평창을 찍지 말라고 한 말을 들었느냐'는 질문에 대해 "어떤 분이 어떤 IOC위원을 만났을 때 (김 위원이) 그런 식으로 얘기했다는 것을 들었다"면서 "사실인지 여부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 김 부위원장을 국회에서 제명하거나 공직사퇴를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치위 관계자들의 이같은 국회증언이 제기됨에따라 김 부위원장에 대한 책임론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창동(李滄東) 문화관광장관은 "정부는 유치단계 초기부터 김운용 위원의 부위원장 출마문제가 유치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대처했다"면서 "김 위원은 마지막 순간까지 출마한다, 하지 않는다는 태도를 분명하게 밝히지 않았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김 위원이 적극적으로 나섰다면 유럽 IOC 위원들이 우리를 지원했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대해 김운용 위원은 의원들의 질의가 끝난뒤 소명을 통해 "최선을 다해 유치활동을 펼쳤으나 유치에 실패했다"고 밝힌뒤, IOC 부위원장 불출마 선언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부위원장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나를 따르는 IOC 위원들의 표를 결집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이와관련, 김 위원측은 "강원도에서 강하게 반발하는 이유는 과거 `2010년은 평창, 2014년은 무주가 동계올림픽에 도전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김 지사와 공 유치위원장, 이연택(李衍澤) 대한체육회장 등은 "지난 5월 2010년 동계올림픽 유치 후보지 단일화 과정에서 `2010년 평창이 유치에 실패하면 2014년은 전북 무주가 유치 우선권을 갖는다'는 각서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날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은 ▲김 부위원장이 유치활동 과정에서 평창에 불리한 언급을 했는지 여부 ▲일부 IOC 위원에게 투표 불참을 권유했는지 여부 ▲부위원장 출마 만류 권유에 대한 김 위원장의 거부 이유 ▲아들 석방을 위한 외교부압력 행사 여부 등을 집중 추궁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재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