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호주 등의 협력을 얻어 대북 압박을 시작한 미국이 대북식량 추가지원 유보에 이어 유엔 안보리 조치 카드를 꺼내드는 등연일 압박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무장관회의에 참석한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회의가 열리는 프놈펜행 기내에서 `한국과 일본의 대북 경제협력과 지원 규모 동결'을거론하면서 미국의 대북식량 추가지원 유보방침을 밝힌 데 이어 프놈펜에 도착해선한,중,일 등으로부터 북핵문제의 안보리 논의와 조치의 불가피성에 대한 동의를 끌어냈다. 미국은 물론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대화에 응할 경우 국제사회의 다양한 지원가능성을 지적, 북한에 대해 당근도 상기시켰으나, 북한을 5자회담으로 끌어들이고종국엔 핵을 포기케 하기 위한 우선 수단으로 압박 드라이브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8일 한.미.중.일 외무장관간 연쇄 교차 양자회담에서 논의된 유엔안보리 논의와 조치는 특히 압박단계를 넘어 제재로 가는 직전 단계일 수 있어 주목된다. 이날 한국과 중국은 안보리 논의의 필요성엔 공감하거나 동의하면서도 `타이밍'을 강조하고 특히 한국측은 `의장성명 정도'로 안보리 조치를 상정, 대북압박 의미를 완화하려 했다. 그러나 파월 장관은 프놈펜행 기내에서 `수주내에 북한의 핵문제에 대해 유엔이행동을 취할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해 북한에 대해 시한을 길게 줄 의사가 없음을분명히 했다. 또 현재와 같은 미국의 기세로는 북한이 끝내 5자회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의장성명 정도'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제프 훈 영국 국방장관은 호주프레스클럽 연설에서 `북한의 고립'을위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주장했다. 안보리에는 중국과 러시아도 있으나 중국 리자오싱(李肇星) 외교부장은 이날 ARF회의에서 "한반도의 비핵화를 지지한다"는 종래의 통상적인 언급에서 나아가 "북핵문제는 역내 안정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적시해 주목됐다. 이같은 상황에서 윤영관(尹永寬) 외교장관은 미, 일에 북한을 5자회담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한.미.일 3국이 빠른 시일내에 실무차원의 소규모 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대북제안을 조율할 것을 제의했다. 한국으로선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이 커질 경우 북한이 더욱 상황을 악화시키는조치를 취하고, 이것이 다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부르는 악순환 가능성을 우려하는 입장에서 북핵문제가 안보리로 가기전에 5자회담에서 다뤄지게 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한.미, 한.중, 한.일간 외무회담 후 브리핑한 이수혁 외교부 차관보와의문답 요지. --북한이 5자회담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논의를 했나. ▲우리 정부도 안보리에서 한번 논의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해 인정하고 있다. 타이밍은 대화국면을 지켜보고 결정하는 게 좋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북한이 계속 양자회담을 주장하며 확대 다자회담을 거부하는데, 안보리가 심의하지 않으면 안보리의 관심과 우려가 없는 것으로 오해가 있을 수 있다. 안보리 논의를 개시해 공격적인 결의보다는 의장성명을 채택, 그동안 경위를 밝히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성명정도를 채택하는 것은 큰 압력이라고 볼 수 있겠느냐는 의견도 있다. 중국도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대북 제안의 공동조율을 제의한 것은 대북 공동제안을 하자는 말인가. ▲한.미.일 3국이 공동으로 취할 것은 공동으로, 다른 것은 따로 하자는 이야기다.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에서 제시된 3국의 안과 원칙을 빠른 시일내검토, 다시 한번 만나 협의하자는 것이다. 형식은 티콕이 아닌 소규모 그룹이다. --우리 정부의 구체안이 있나. ▲우리도 아이디어 갖고 있지만 정부안으로 하기에는 조금 우리에게 시간이 필요하다. --대북 공동제안은 사전에 공개할 수 있나. ▲다자회담에서 제의할 것이다. 그러나 분위기는 이런 저런 경로로 북한에 전달될 것이다. (프놈펜=연합뉴스) 추승호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