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들이 무차별적으로 외형을 확정했을 당시에 모집했던 회원들이 전체 대환대출과 대손상각액의 70%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0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이뤄졌던 카드사들의 무분별한 회원 모집이카드사 경영난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셈이다. 3일 모 카드사가 금융감독원에 낸 기업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 3월까지 실시한 대환대출(연체를 대출로 전환) 4조6천830억원 가운데 2000년부터 지난해 3월까지 모집된 회원과 관련된 액수는 3조2천890억원으로 70.2%에 달했다. 이에비해 가두모집 금지 등 회원모집이 규제되기 3개월전이었던 지난해 4월부터올 3월까지 가입한 회원의 대환대출은 80억원으로 0.2% 정도였고 2000년 이전에 모집된 회원은 1조3천860억원으로 29.6%에 그쳤다. 또 이 회사가 같은 기간에 실시한 대손상각(연체채권을 사실상 회수가 불가능한채권으로 분류해 손실처리)액은 1조9천910억원이었고 이중 2000년∼2002년 3월에 모집된 회원의 금액은 1조4천600억원으로 73.3%를 차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4월부터 올 3월까지 가입한 회원은 290억원으로 1.5%, 2000년 이전 회원은 5천20억원으로 25.2%에 불과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 회사 뿐만 아니라 다른 카드사도 사정이 비슷하다"며 "감독 당국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회원의 소득 등을 고려하지 않은채 무차별적으로 카드를 발급한 것이 경영난의 원인이었다는게 입증된 셈"이라고 말했다. 카드사들은 지난 99년 5월 현금서비스 한도가 풀리자 2000년부터 지난해 7월 회원모집이 규제될때까지 청소년과 무직자 등에게도 신용카드를 남발, 연체율 급등과적자전환의 부실경영을 야기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lees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