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적극적으로 밀어붙여온 주한 미2사단 한강 이남 이전이 우리 정부의 요구대로 북핵 사태 해결 등 한반도 안보 여건이 호전된 이후로 일단 유보될 전망이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15일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그간 양국간 주요 쟁점으로 부상한 미2사단 이전 문제는 우리측의 거듭된 강력한 우려 표명을 미측이 상당 부분수용할 것으로 낙관한다"면서 "정상회담 뒤 발표할 공동성명에 어떤 식으로든 이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12일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어 지난달 9~10일 열린 미래 한미동맹 정책구상 공동협의 첫 회의에서 합의된 문구인 '미측은 2사단을 포함한 주한미군 기지 재조정에 관한 한국국민의 우려에 대해 이해를 표명했다'보다는 훨씬 진전된 표현이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당시 회의에서 우리측은 미측에 미2사단 후방 이전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전달했으나 미측은 한국의 상황과 관계없이 자국의 전세계적 군사력 재편의 일환으로 2사단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전 방침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이번 정상회담 공동성명 문구에는 '미2사단 후방 이전은 북핵 문제 등현재 한반도 안보 상황을 고려해 실무선에서 장기적 과제로 신중히 협의한다'는 정도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고 건(高 建) 국무총리가 9일 한국 총리로는 처음으로 의정부 미2사단 사령부를 방문, 근무 여건 개선을 약속하는 등 현 상황에서 이전 배치에 반대한다는뜻을 우회적으로 강하게 표명한 것도 어느정도 미측과의 사전 교감을 거쳐 단행한 행보로 관측된다. 첫 방미길에 오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도 12일 뉴욕에서 가진 재미교포 간담회에서 "미2사단은 북핵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한국 안보에 대해 안도할 수 있는 여러 조치가 완성될 때까지 현 위치에서 한국을 도와줄 것을 간곡하게 부탁할 것"이라면서 양국간에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이 이뤄졌음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성섭 기자 leess@yna.co.kr